00507570701_20140627.JPG » 남자들의 로망인 자동차와 아이들의 로망인 로봇이 결합한 변신로봇은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지닌다. 변신로봇계의 월드 스타 트랜스포머가 있다면, 토종 스타로는 또봇이 있다. 폴리, 또봇 등 완구제품도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씨제이이앤엠·레트로봇·영실업 제공. 박미향 기자 mh@hani.co.kr

[문화‘랑’] ‘변신 로봇’의 세계
3년 만에 네번째 시리즈로 돌아온 <트랜스포머>. 전세계에 변신로봇의 매력을 각인시킨 이 영화는 1980년대 일본 완구회사의 제품으로부터 시작됐다. 아이들은 물론 어른까지 열광시키는 국내외 변신로봇의 변천사와 그 세계를 들여다봤다.

자동차는 남자들의 로망이라고 한다. 아이들의 로망이라면 로봇을 빼놓을 수 없다. 단순히 이 둘을 붙이면 ‘로망+로망’이 되겠지만, 자동차로 변하는 로봇, 로봇으로 변하는 자동차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로망×로망’, 다시 말해 ‘로망²’이 되어 거부하기 힘든 유혹의 손길을 뻗친다. 변신로봇, 그 참을 수 없는 매력에 아이 어른 가리지 않고 빠져드는 이유다.

영화 ‘트랜스포머’ 시리즈 
세 편에 2200만 관객 흥행몰이 
4편선 새 캐릭터들로 새단장 
완구서 만화로, 애니로 영역 확장 
폴리·또봇 등 토종 로봇들도 등장 
아이용 인식 넘어 성인용 변신 준비
트랜스포머의 귀환…기원은 80년대

변신로봇의 지존, 트랜스포머가 돌아왔다. 마이클 베이 감독의 영화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가 지난 25일 개봉했다. 세계적인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국내에서도 흥행 돌풍을 일으켜왔다. 2007년 <트랜스포머> 744만명, 2009년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750만명, 2011년 <트랜스포머3> 778만명 등 단 세 편의 시리즈로 2272만명의 관객을 모았다. 4편인 <…사라진 시대> 역시 전작들 못지않게 흥행몰이를 할 것으로 수입·배급사인 씨제이이앤엠은 기대하고 있다.

사실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풋풋함과 참신함을 내세운 1편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좋은 평을 듣지 못했다. 속편으로 갈수록 외양은 더욱 크고 화려해졌지만, 내용은 거꾸로 빈약해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관객들이 꾸준히 몰리는 데는 이유가 있다. 변신로봇의 액션이 주는 특별한 매력이 다른 단점들을 상쇄하기 때문이다.

<…사라진 시대>는 기본적인 이야기 토대를 싹 바꿔가며 규모를 더욱 키웠다. 인간의 편에 선 오토봇 군단의 지도자 옵티머스 프라임과 노란 차에서 로봇으로 변신하는 범블비만 빼놓고 모든 캐릭터들이 바뀌었다. 트랜스포머를 생애 첫 차로 갖게 된 젊은이(샤이아 러버프) 대신 10대 딸을 키우는 홀아비 발명가(마크 월버그)가 주인공으로 나선다. 새로운 오토봇 캐릭터로 쌍권총잡이 크로스헤어, 한 덩치 하는 털보 하운드, 일본풍 검객 드리프트가 등장한다. 또 거대한 공룡 로봇 군단 다이노봇, 인간에 의해 창조된 갈바트론, 오토봇을 위협하는 강력한 적 록다운 등도 새롭게 모습을 보인다. 이들이 미국 텍사스, 중국, 홍콩 등을 오가며 펼치는 화려한 액션이 2시간44분이라는 긴 상영시간 동안 이어진다. 


 00507571501_20140627.JPG » 국내 변신 로봇인 또봇.

트랜스포머의 기원은 198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완구 회사 다카라(지금은 다카라토미)는 1980년대 초 다이아클론, 미크로맨 등 변신로봇 시리즈를 내놓았다. 미국 완구 회사 해즈브로는 1983년 다카라로부터 이들 제품 권리를 사들여 트랜스포머 완구 시리즈를 만들었다. 해즈브로는 제품 홍보를 위해 1984년 만화 출판사인 마블 코믹스와 제휴를 맺고 트랜스포머 만화책을 출간했다.

해즈브로는 내친김에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시리즈까지 기획했다. 마블, 선보 프로덕션과 함께 제작한 <트랜스포머 G1>은 1984년부터 시즌4까지 이어졌다. 1980년대를 배경으로 선의 진영 오토봇이 악의 진영 디셉티콘의 공격에 맞서 싸우는 게 주요 내용이다. 1986년 극장판 <트랜스포머 더 무비>도 개봉했다. 20년 뒤인 2005년을 배경으로 한 극장판은 개봉 당시 반응은 시원치 않았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적으로 수많은 트랜스포머 팬들을 만들어냈다.

트랜스포머는 1996년 3D 애니메이션 <트랜스포머 비스트워즈> 시리즈로 다시 태어났다. 자동차, 전투기, 공룡 등으로 변신했던 이전과 달리 동물로 변신한다는 게 특징이었다.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이후에도 미국과 일본을 오가며 여러 버전의 애니메이션으로 활발하게 제작됐다. 급기야 2007년 실사영화 <트랜스포머>가 나오기에 이르렀다.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제작사로 나섰는데, 원저작권을 지닌 해즈브로도 공동제작사로 이름을 올렸다.


 00398014001_20140627.JPG » 폴리.
 
폴리, 또봇, 카봇…토종 변신로봇의 역습

트랜스포머로 대표되는 외국산 변신로봇의 인기는 국내에서도 막강했다. 그러다 몇년 전부터 토종 변신로봇의 반격이 시작됐다. 출발선은 로보카 폴리가 끊었다. 2010년 <교육방송>(EBS)에서 첫선을 보인 애니메이션 <로보카 폴리>는 이내 유아들 사이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경찰차, 구급차, 소방차, 헬기가 2등신의 귀여운 로봇으로 변신했다. 뽀로로가 아이들의 대통령인 ‘뽀통령’이라면, 폴리는 총리인 ‘폴총리’로 불렸다. 애니메이션 제작사 로이비쥬얼은 아카데미과학과 손잡고 완구 제품도 출시했다. 변신이 쉽고 단순해 아이들의 필수품이 되다시피 했다.

폴리가 2~3살 유아들의 총애를 받았다면, 그다음 단계 아이들은 또봇에 열광했다. 트랜스포머가 완구 회사에서 출발한 것처럼 또봇 역시 국내 완구 회사인 영실업의 기획에서 출발했다. 2009년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변신하는 또봇 시리즈 완구를 먼저 선보였다. 기아자동차와 협력관계를 맺어 미미한 수준의 로열티만 내고 차의 디자인과 상표권을 쓸 수 있도록 했다. 기아차로서도 미래의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에 소극적일 이유가 없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또봇X는 기아차 쏘울로, 또봇Y는 기아차 포르테로 변신했다.

영실업은 애니메이션 제작사 레트로봇과 제휴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변신자동차 또봇>을 만들었다. 2011년 중반 케이블방송 어린이 채널을 통해 방영되면서 아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치솟기 시작했다. <또봇>은 올해 14기까지 방송되면서 캐릭터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스포티지R로 변신하는 또봇Z, 모닝으로 변신하는 또봇D, 레이로 변신하는 또봇W 등 새로운 또봇이 잇따라 등장했다. 급기야 또봇끼리 합체하는 또봇 타이탄, 트라이탄, 쿼트란까지 나왔다.

 00507571801_20140627.JPG » 변신 로봇.
2009년 출시 당시만 해도 미지근했던 완구 판매율은 수직상승했다. 또봇 완구는 출시 이래 700만개 넘는 누적 판매량을 올렸고, 지난해 11월 출시된 4단 합체 또봇 쿼트란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없어서 못 사는 ‘또봇 쿼트란 대란’을 일으키기까지 했다. 또봇의 인기에 힘입어 영실업은 2009년 업계 4위에서 최근 부동의 1위인 레고코리아에 이은 2위로 뛰어올랐다.

완구 회사 손오공도 변신로봇 열풍에 뛰어 들었다. 손오공은 현대자동차와 손잡고 지난해 말 헬로 카봇 시리즈를 선보였다. 현대차의 싼타페와 그랜저가 로봇으로 변신하는 완구다. 손오공은 애니메이션 <헬로 카봇>을 만들어 유튜브 등에 공개했으며, 조만간 텔레비전 방송도 시작할 계획이다.
다만 아직까지 국내 변신로봇 콘텐츠는 아이들에게만 국한된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또봇을 좋아하는 성인인 이른바 ‘또덕’(또봇 덕후)도 있지만, 트랜스포머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게 현실이다. 이는 수익 구조와 관련이 있다. 방송 판권료만으로 막대한 애니메이션 제작비를 충당하기 어려워 완구 수익에 크게 기대야 하고, 완구 판매를 늘리기 위해선 아이들용 콘텐츠에 주력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토종 변신로봇은 또다른 도약을 꿈꾼다. <또봇> 애니메이션을 만든 레트로봇은 지금까지 쌓아온 노하우를 살려 청소년·성인용 변신로봇 콘텐츠를 준비중이다. 변신로봇은 현실에서도 끊임없이 변신·진화하는 중이다.


“우릴 빼놓으면 안되죠” 왕년의 ‘변신 로봇’들



 00398011201_20140627.JPG » 합체로봇의 지존 ‘킹라이온’(왼쪽)과 추억의 토종 로봇 ‘우뢰매’. 박미향 기자킹라이온, 후뢰시킹, 스페이스 간담브이, 우뢰매…. 트랜스포머와 또봇이 변신로봇의 양강구도를 이루고 있다지만, 이들을 빼놓으면 섭섭해하지 않을까? 1980년대 변신로봇계를 주름잡다 이제는 은막 뒤로 사라진 왕년의 스타들이다.

합체로봇의 지존 킹라이온은 아직도 많은 이들의 추억 속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일본에서 <백수왕 고라이온>, 미국에서 <볼트론>, 한국에서 <킹라이온>이라는 애니메이션으로 방송돼 큰 인기를 끌었다. 5마리의 사자 로봇이 하나의 거대 로봇으로 합체하는 값비싼 완구 제품은 아이들 사이에서 ‘꿈의 아이템’이었다. 지금도 마니아들 사이에서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이라는 제목의 비디오로 국내 출시된 일본 특수촬영물 시리즈에 등장하는 후뢰시킹도 대표적인 합체로봇이다. 비행기 2대와 탱크 1대가 합체해 로봇이 된다. 후뢰시킹 완구 제품 또한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추억의 토종 변신로봇으로는 스페이스 간담브이가 있다. 김청기 감독의 1983년 작 애니메이션에서 선보였는데, 비행기로 변신하는 로봇은 실은 일본 애니메이션 <초시공요새 마크로스>에 나오는 로봇을 표절한 것이다. 김청기 감독이 1986년 첫선을 보인 실사·애니 합성 영화 <우뢰매> 시리즈의 우뢰매도 있다. 심형래가 주연을 맡았고, 독수리로 변신하는 로봇 우뢰매가 애니메이션 형태로 등장했다.

추억의 변신로봇이 최신 기술에 힘입어 부활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트랜스포머에 이어 킹라이온(볼트론)을 실사영화로 만드는 프로젝트가 할리우드에서 진행중이다. 국내에선 초저예산 B급 에스에프(SF)영화 <불청객>(2010)의 이응일 감독이 우뢰매를 실사영화로 되살리는 도전에 나섰다가 현실의 벽에 가로막혀 지금은 포기한 상태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한겨레 신문 2014년 6월 27일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255 [자유글] 한겨레휴 계룡산센터, 행복 가족 명상 캠프 모집 imagefile 양선아 2010-07-01 18029
1254 [자유글] 남편과의 불화 덕분에 imagefile [14] 빈진향 2013-11-16 17993
1253 [자유글] [설문조사] 무상 공공산후조리원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imagefile [7] 양선아 2015-06-30 17864
1252 [자유글] [베이비트리가 콕콕 짚어줘요] ⑪ 마법 같은 하루, 메리 크리스마스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12-22 17851
1251 [자유글] [답변포함] 직장맘 젖떼기 gerade97 2011-01-28 17828
1250 [자유글] 예비엄마를 위한 해설이 있는 정원산책 참가하세요~ imagefile minkim613 2010-09-15 17275
1249 [자유글] 드디어 도착했어요 ㅠㅠ imagefile [5] guk8415 2012-03-27 17274
1248 [자유글] 영유아 예방접종 지원예산 ‘싹둑’ imagefile babytree 2010-10-08 17237
1247 [자유글] 여름 imagefile guk8415 2010-07-23 17208
1246 [자유글] [한겨레 기고] 산부인과 의사들에게 고함 imagefile babytree 2010-07-19 16889
1245 [자유글] 영유아 예방접종비 400억 전액 삭감에 반대 청원 hsl810 2010-12-14 16833
» [자유글] 돌아온 ‘트랜스포머’ 무한 매력 ‘변신 로봇’ 변천사 imagefile [1] 베이비트리 2014-06-27 16816
1243 [자유글] 24시간 가까이…다른 방법은 없었다. 대한민국 3% ‘모유 만세’ image 양선아 2010-04-20 16747
1242 [자유글] 남편, 아내를 인터뷰 하다 - 오마이뉴스 퍼옴 image [2] anna8078 2012-01-12 16640
1241 [자유글] 장난감도 엄마손이 마법 imagefile 김미영 2010-12-22 16628
1240 [자유글] 수수팥떡 최민희 대표가 전하는 임신·출산 교실 zeze75 2011-02-08 16594
1239 [자유글] 아빠가 함께 아이 키우면 집도 회사도 웃음꽃 imagefile babytree 2010-12-06 16554
1238 [자유글] 보행기·걸음마 너무 서두르지 마세요~ imagefile babytree 2011-04-12 16408
1237 [자유글] 육아문제 걱정 끝인가요? suny0110 2010-05-11 16320
1236 [자유글] 보육시설 95% 사설…돈없는 부모는 괴로워 [한겨레 2월23일자] imagefile babytree 2010-04-26 16272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