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저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도서_이상한정상가족.jpg

 

 

이 책을 처음 읽기 시작했을 때 시야가 흐려서 제대로 읽을 수 있을까 걱정이 되었다.

부모에 의해 죽어가는 아이들이 이렇게나 많았던가?

 

그런데 저자가 만난 검사나 기자들 조차 "나도 아이를 때릴 때가 있는데, 부모의 체벌을 어디까지 문제 삼아야 될지 모르겠다"고 고민을 한다는 대목에서 놀랐다.

이건 법 제도의 문제이기 보다는 사회 구성원 인식의 문제겠구나.

성인이 성인을 때리면 폭력이 되고, 어린이 집 선생님이 아이를 때리면 바로 문제가 되는데 부모가 "내 자식 버릇 나빠질까 가르치는데 뭐가 문제냐?"에는 속수무책인 현실.

 

동반자살도 그랬다. 사실 부모가 자식을 죽이고 본인은 자살을 한 것이라 살인과 자살을 분리해서 봐야 하는데,

자식이 부모를 죽이면 존속살해로 가중처벌을 받지만 반대의 경우는 "오죽 했으면 그랬겠냐"며 오히려 가벼운 처벌을 받는다.

또한 사회가 책임질 부분도 오로지 부모의 몫이라 생각해서 자신이 죽기 전 자식들을 홀로 남겨 두지 않으려는 심리도 작용한다고.

 

저출산 문제를 미혼모와 연결한 부분도 새로운 시각이었다.

저출산을 심각한 사회 문제로 꼽으면서도 꾸준히 아이가 버려지고 해외로 입양 시키는 나라.

미혼모의 출산율이 높은 나라가 출산율도 높다는 비교 또한 우리가 다시 생각해야 할 부분이다.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에 미혼모의 아이가 있다고 항의하는 이상한 정상가족이 존재하는 하는 현실에서 과연 출산율이 높아 질 수 있을까?

 

<이상한 정상가족>은 동네 독서모임에서 추천한 2018년 첫 책이었는데, 아주 탁월한 선택이었다.

2일 전에 겨우 구입해 읽기 시작했는데 시간이 없었지만 다 읽었다는 회원.

바빠서 e-Book으로 읽었는데, 너무 좋아서 다시 책을 사야겠다는 회원.

보통 책을 읽는 동안 인상적인 구절을 표시 해 두고 모임에서 공유하는데 정부 정책과 연결되면 좋을 부분만 따로 표시 해 두었다는 회원.

다들 입을 모아 이 책을 극찬했다.

 

책을 읽은 소감을 차례대로 말하고 듣고 회원들께 물어봤다.

어릴 적 맞고 자랐는지? 그리고 아이의 훈육을 위해 때리는지?

30대 후반~50대 초반의 회원들 대부분은 맞고 자랐지만 자식을 때리지는 않으려고 한다고.

아이를 기르면서 물리적인 폭력 외 언어적 폭력도 자제하려 했지만 그게 그렇게 쉽지는 않았다며 조금 더 일찍 아이가 어렸을 때 이런 책이 있었더라면 참 좋았을 텐데 하며 아쉬워했다.

 

나도 내 남동생들도 맞고 자랐다.

난 아이를 때려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데 남동생들은 아이를 때리는 경우가 있었다.

"너도 맞고 자라 싫을 텐데 왜 때려?" 물으니 "맞아서 이 정도라도 사람 된 거잖아?" 그때 다시 놀랬는데,

저자도 그 지점을 짚어준다. 맞고 자란 사람은 맞아서 이만큼이라도 된 거라고 정당화 하는 심리가 있다고.

맞지 않고 자랐다면 더 잘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아이 한 명을 키우는데도 온 마을이 필요하듯 아이 한 명이 죽는데도 온 마을의 암묵적인 합의가 필요하다는 말은 또 얼마나 섬뜩한가?

그러니 체벌 외 아동인권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를 조목 조목 짚어주는 이 책은 누구라도 꼭 한번 읽기를 강추한다.

 

 

강모씨.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94 [자유글] 9세 남아 개똥이의 디지털 세상 준비하기 imagefile [6] 강모씨 2018-01-21 4566
3193 [책읽는부모] <집으로> 수상한 그림책 imagefile 강모씨 2018-01-21 3456
» [책읽는부모] <이상한 정상가족> 당신도 맞고 자랐나? imagefile 강모씨 2018-01-21 4027
3191 [자유글] 미세먼지 예보에 우울하네요 imagefile [2] 아침 2018-01-20 3934
3190 [요리] 식빵을 구웠습니다 ^^ imagefile [4] 아침 2018-01-18 3997
3189 [자유글] 민들레에서 준비한 부모특강 (성 교육, 코딩 교육) 소식 전해드려요. ^^ imagefile 민들레출판사 2018-01-16 4340
3188 [자유글] 네가 이거 갖고 놀 나이니? 그 나이는 누가 정하나요~ imagefile [6] 아침 2018-01-16 3987
3187 [자유글] [새해 이벤트 응모] - 2018년은.. imagefile [4] puumm 2018-01-12 3930
3186 [선배맘에게물어봐] 7살에 수영 배우기 괜찮을까요? [4] 아침 2018-01-11 4112
3185 [건강] 너무 건조해요! 가려움에 잠 못 드는 아이들 ㅠㅠ [6] 아침 2018-01-09 4171
3184 [자유글] 요즘 육아는 장비빨? AI스피커 사려고 해요 ㅋㅋ hyochi88 2018-01-08 3419
3183 [자유글] [새해 이벤트 응모] 내 아이에게 키워주고 싶은 가치 spagent 2018-01-03 3646
3182 [건강]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image [8] 푸르메 2018-01-01 4836
3181 [자유글] 올 한해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imagefile [3] 양선아 2018-01-01 8074
3180 [자유글] 베이비트리 오시는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1] 서이슬 2017-12-31 4098
3179 [책읽는부모] <아이의 미래는 부모의 말에서 결정된다> 남편에게 강추!!! imagefile [4] 강모씨 2017-12-30 4480
3178 [자유글]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imagefile [5] 아침 2017-12-28 5706
3177 [자유글] 독감에 걸렸어요 ㅠㅠ imagefile [2] 아침 2017-12-24 4131
3176 [건강] 2018년 새몸 새마음 새희망만들기!! 수수팥떡생활건강(단식)교실시작합니다! imagefile kkebi33 2017-12-22 3588
3175 [자유글] 길고긴 겨울방학 시작했어요..^^; imagefile 아침 2017-12-21 3466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