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은 정신없이 지나가버렸다. 애들 아빠도 바빴고, 나는 저질체력이 바닥이 났는지 더위를 먹었는지 기운도 없고 31개월 첫째와 5개월 둘째를 먹이고 놀아주고 재우는 기본적인 일들에 지쳐 있었다.
평소에 약했던 허리와 손목도 아팠고, 첫째가 결막염으로 어린이집을 일주일 넘게 못가게 되는 동안 내 눈에도 결막염이 왔다. 피곤하니 면역력이 떨어져서 눈병은 7월이 가기 전에 또 왔다. 그나마 다행이었던 것은 둘째에겐 아무런 탈이 없었다는 것
내 몸이 피곤하니 첫애에게 자주 화도 냈고, 첫애가 이유없이 징징거리는 것 같아 많이 답답했다. 어물어물 발음이 시원찮게 말하면서 떼를 쓰고 계속 울어대는 아들을 상대하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니어서 때로는 나도 모르게 이성을 잃고 소리도 지르고, 밤 늦었으니 어서 자라고 윽박지르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날 '신이여, 아이들을 가장 편한 길이 아니라 가장 아름다운 길로 이끌어 주십시오' 하고 기도하는 야누슈 코르착의 책을 만나게 되었다. 책을 읽다보니 ' 아, 나는 나 힘들다고 편한 길을 가자고 애들을 볶아채고 있었구나' 애들을 재우다가 쓰러져서 자느라 난 기도는 커녕 하루를 돌아볼 여유도 없는 짐승같은 나날을 보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코르착의 한편 한편 시같은 짧은 글들을 읽으며 아이들의 마음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고 부모의 역할에 대해 다시 돌아볼 수 있었다.
엄마 마음은 아이와 함께 성숙해집니다 (p129)
아이는 엄마의 삶에 시적이고,
신비한 침묵을 가져다줍니다.
엄마의 삶은 아이와 함께 보내는 시간에 의해
그 리듬과 형태가 달라집니다. (중략)
조용하게 명상하는 가운데 아이를 생각하면서
영감을 받아 엄마 마음은 아이와 함께 성숙해집니다.
그래서 아이를 기르는 데 필요한 어려운 일을
거뜬히 수행할 수 있게 되지요.
이러한 영감은 책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 깊은 곳에서 나옵니다.
두 아이들과 함께 아름다운 길을 걸을 수 있도록 더 깨어있고 실천하는 부모가 될 수 있을까. 코르착의 글은 가까이 두고 자주 자주 펼쳐보면서 마음이 황폐해질 때마다 보게 될 것 같다. 내게는 생소했던 야누슈 코르착을 이번 기회에 알게 되어 정말 다행이고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