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과 원인



퇴행성에 비해 진행속도 빨라

발병 1~3년뒤 관절조직 파괴도

가족력 있고 흡연자면 고위험



b49306656a66b815e8ba681557357a91.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흔한 류마티스 관절염은 조기 진단이 쉽지 않고 그만큼 대처하기도 어렵다. 실제로 대한류마티스학회의 의뢰로 류마티스관절염 임상연구센터가 국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3100명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증상이 처음 생긴 뒤 거의 2년 정도 돼야 정확한 진단을 받았으며, 진단 당시에 이미 절반 이상이 뼈 손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전문의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 자체를 예방하기는 쉽지 않고 이 관절염을 아예 없앨 수는 없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로 증상을 거의 조절할 수 있는 점을 강조했다.



■ 왜 발견 어렵나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을 싸고 있는 얇은 막에 만성 염증이 생긴 질환이다. 이 염증은 외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침입이 아닌 자신의 면역세포가 자신을 공격해 생겨나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이다. 초기에는 관절이 붓고 통증이 생기지만, 진행되면 얇은 막이 둘러싸고 있는 연골과 관절의 변형이 온다. 더 심해지면 주변의 뼈까지 파괴되고, 이 염증이 동맥경화나 골다공증 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문제는 이 류마티스 관절염은 늦게 발견되는 특징이 있다. 50~60대 이상의 노년층에게 흔한 퇴행성 관절염과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퇴행성 관절염과는 달리 손가락 가운데 마디나 손목과 같은 관절이 붓고 특히 아침에 심해지는 통증이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 퇴행성 관절염에 견줘 질병의 진행 속도가 빨라 병이 시작되고 1~3년 정도만 지나도 관절 조직이 파괴될 수 있다. 실제 이번 임상연구센터가 전국 20여 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2009년 11월 조사한 3169명의 환자도 질병이 시작된 지 평균 1.8년이 지나 정확한 진단이 내려졌다. 게다가 이들 가운데 55.6%는 이미 뼈 손상이 진행돼 있었다. 



■ 누가 잘 걸리나



류마티스 관절염은 전 세계적으로 약 2천만명 정도가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국내에서도 전 인구의 1% 정도가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이 가운데 70~80%는 여성일 것으로 학계는 추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더 높은 여성호르몬의 분비, 임신, 출산 등이 이 질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히 여성이 남성들에 견줘 근육 및 뼈가 더 약해 이런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했을 때 그 증상이 더 심한 것으로 보인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보다 젊은 나이에 발생하는데, 이 때문에 30~40대 젊은 여성 환자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아울러 가족 중에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을 때 이 관절염에 걸릴 가능성이 더 큰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또 흡연이 이 관절염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 치료는 잘 되나



다른 자가면역질환들과 마찬가지로 류마티스 관절염 역시 완치라는 개념이 적용되는 질병은 아니다. 하지만 약물 치료 등으로 잘 관리하면, 관절의 통증이나 변형을 최대한 줄이면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또 젊은 여성의 경우에도 질병이 조절되면 임신이나 출산에도 지장이 없다. 다만 이미 관절의 변형이 온 경우에는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늦게 발견돼 관절의 변형이 심할수록 수술을 받을 가능성은 커진다. 이번 임상연구센터의 조사에서도 1년 이내에 조기진단됐을 때에는 관절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6.4%에 불과했으나, 3년 이상 진행돼 진단되면 13%가 수술이 필요했다. 이는 이 분야 전문의들이 무엇보다도 조기 진단을 강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 예방에 좋은 생활습관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한다는 음식은 현재까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때문에 골고루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식사만 권장할 뿐이다. 다만 이 관절염과 함께 골다공증이 있으면 칼슘이 충분히 든 음식을 권장하고, 심장 및 혈관 질환이 있으면 지방이 많은 고열량 식품은 줄이는 것이 좋다. 운동의 경우 평지 걷기나 수영과 같은 운동은 권장하나, 무거운 것을 드는 근육 운동이나 경사진 곳을 오르는 일은 관절에 해를 줄 수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는 본인의 흡연뿐만 아니라 가족 등 주변 사람의 흡연이 이 관절염의 발생이나 증상 악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오므로, 주위 가족들의 금연도 필수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도움말=신기철(서울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ㆍ박성훈(대구가톨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대한류마티스학회 홍보위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294 [나들이] [이벤트공지] 봄나들이 어디로 갈까요? imagefile babytree 2011-03-30 40237
3293 [직장맘] 일하는 엄마를 위한 심리참여연극 보세요 imagefile [1] 베이비트리 2011-10-26 40118
3292 [자유글] 크리스마스 케이크 미리미리 예약해볼까 imagefile [1] 베이비트리 2011-12-09 39791
3291 설사, 섣부른 지사제 복용금물…수분섭취 충분히 imagefile babytree 2010-08-10 39697
3290 [가족] 출산 뒤 “피곤해” 거부…남편의 폭발 “내가 짐승이야?” imagefile [2] 베이비트리 2012-04-16 38815
3289 [자유글] 아들의 첫 파마 imagefile [3] akohanna 2012-01-06 38088
3288 [자유글] “내 아기 육아정보 이 ‘앱’ 하나면 끝!” imagefile babytree 2011-08-03 37661
3287 [자유글] 1학년 받아쓰기 imagefile [6] 꿈꾸는식물 2015-06-04 37245
3286 [직장맘] 엄마 쭈쭈가 세상에서 젤 좋아~ imagefile jenmi 2011-04-19 35946
3285 [자유글] [발표] 잘가~ 무더위 이벤트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07-15 34789
3284 [자유글] 스마트한 ‘건강정보 앱’ imagefile babytree 2011-08-09 34783
3283 [직장맘] 어린이집 수족구에 비상! 우리집도... imagefile yahori 2010-07-14 34058
3282 [자유글] 세 살짜리 우리 아들의 어록, 배꼽이 데굴데굴 imagefile [17] blue029 2012-02-07 33475
3281 [나들이] [딸과 함께한 별이야기 1]천체망원경을 지르다 imagefile [3] i29i29 2013-07-28 33363
3280 [자유글] [시쓰는엄마] 나는 분노한다 imagefile 난엄마다 2019-03-17 32717
3279 [다이어트 8화] 한번쯤은 배 부르게 imagefile 김미영 2010-06-08 32699
3278 [나들이] 온천노천탕과 보문사 앞바다 즐기는 석모도 여행 image 베이비트리 2017-02-02 32281
3277 [나들이] 용인 죽전 무료 물놀이장 탐방기 imagefile ofineday77 2010-08-12 32049
» "늦으면 뼈 손상"…류머티즘 관절염 조기진단을 imagefile babytree 2010-11-02 31905
3275 [직장맘] 15개월 딸래미... 드디어 엄마 쭈쭈 빠빠이~ imagefile jenmi 2011-06-09 31880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