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맞으며 낭만 젖다 피부병 생길라

조회수 20912 추천수 0 2010.06.22 10:02:59

[건강한 세상] 장마철 ‘요주의’ 질환들

고인물 닿으면 씻어내야

세균 극성…식중독 주의



7d8a91d2dcad1aea7c7931c36568ec2f.지난 주말부터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장마가 시작됐다. 평소보다 습도가 크게 높아지면서 피부가 맞닿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각종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되기도 해 식중독에 걸리기도 쉬워진다. 이와 함께 평소 관절염 등이 있는 환자들 가운데에는 관절 통증이 더 심해지는 이들도 있다. 관련 전문의들의 도움말로 피부질환, 식중독 등 장마철에 유의해야 할 질환들의 예방에 대해 알아본다.



■ 피부 질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피부가 서로 맞닿는 부위는 염증이 쉽게 생기는 곳이다. 이런 염증을 간찰진이라 부르는데, 두 피부면이 자주 닿으면서 피부의 보호 장벽이 손상돼 붉게 짓물러 가렵거나 화끈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주로 목의 주름, 팔꿈치 안쪽, 무릎 뒤쪽, 가랑이나 발가락 사이 등에 흔히 생긴다. 여성들의 경우 유방 밑도 잘 생기는 부위다. 특히 영아나 비만한 사람 등은 피부가 접히는 면적이 넓어 더 잘 생긴다.



염증이 생겼더라도 해당 부위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하고 2차적으로 세균이나 곰팡이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대부분 저절로 좋아진다. 마찰이 되는 곳에 파우더 등을 바르면 증상이 더 빨리 개선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영·유아 등은 가루가 날리는 것보다는 영·유아용 크림을 쓰는 것이 좋다.



장마철에 비를 맞거나 고인 물에 닿은 뒤에 피부가 가려운 경우가 있다. 이때 가려운 부위를 심하게 긁으면 접촉성 피부염이 생길 수 있다. 빗속에 대기 중의 각종 오염 물질이 포함돼 있거나 고인 물에 여러 불순물이 들어 있을 수 있기 있는데, 이들 물질이 피부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증상은 대개 가려움증을 동반하면서 크기가 다양한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이다. 심한 경우에는 온몸에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증상이 가벼우면 몸을 깨끗이 씻고,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이 든 로션을 바르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된다. 비를 맞았거나 고인 물 등에 젖었다면 빨리 씻어내는 것이 이 질환의 예방법이다.



이밖에 땀띠도 흔히 생기는 피부 질환인데, 하루 종일 누워 있는 영아나 활동량이 많은 유아에게 흔하다. 미지근한 물로 자주 씻는 것이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이미 생긴 뒤에는 파우더 등이 오히려 땀구멍을 막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에어컨 등을 통해 시원하고 건조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좋다.  

 

44d67bdf67811f0a6c15bd5d5eb7be88.■ 식중독 고온다습한 날씨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각종 세균의 번식에도 좋은 환경이다. 때문에 다른 어느 때보다도 음식 위생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의 경우 손 등에 상처가 있을 때에는 조리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처에 잘 번식하는 포도상 구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한 번 먹은 찌개 등은 이 기간만이라도 아까워도 버리는 것이 좋다. 김밥 등 사람의 손이 직접 닿는 음식은 만든 즉시 먹는 것이 식중독을 막는 길이다. 혹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면 장마철 기간에는 더욱 잘 끓여 사용해야 한다.



■ 관절 통증 장마철만 되면 관절 통증이 더 심해진다는 관절염 환자들이 많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건 아니지만 장마철에는 기압이 낮고, 야외 활동이 줄어들며, 냉방 장치 등에 의해 찬바람을 쐬는 것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냉방 장치가 가동되는 곳에서는 무릎 등을 옷가지나 이불 등으로 덮어 찬바람을 쐬지 않도록 하고, 아무리 덥더라도 실내 온도는 25~28도를 유지하는 게 좋다. 대신 습도는 50% 안팎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관절 연골이 다 닳아진 말기 관절염이 아니라면, 관절 운동이 주변 근육의 강화에 도움을 줘 관절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때문에 물속에서 걷거나 실내에서 고정식 자전거 타기, 가벼운 산책은 꼭 챙겨야 한다. 또 따뜻한 물수건이나 찜질팩을 해 주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도움말: 손숙자(을지대병원 피부과 교수), 홍승재(경희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이미숙(경희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정구영(정형외과 전문의·힘찬병원 과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174 [자유글] 7박 8일 시댁에서의 휴가 -.-;; imagefile [12] blue029 2012-08-12 21751
3173 스마트폰시대, 스마트한 눈 위해 imagefile babytree 2010-10-12 21689
3172 [자유글] 서른다섯번째 생일, 감동의 도가니 남편의 미역국 imagefile [16] 양선아 2012-03-16 21565
3171 [다이어트 30화] 허벅지에 비밀 있다 imagefile 김미영 2010-06-30 21554
3170 [살림] 올 가을 김장 양념의 반란 image 베이비트리 2011-10-25 21519
3169 [나들이] 개똥이 친구의 집은 제주민박 유월인가? imagefile [14] 강모씨 2012-10-25 21437
3168 [자유글] [베이비트리가 콕콕 짚어줘요] ⑫ 여름방학 현명하게 보내기 imagefile [1] 베이비트리 2015-07-27 21430
3167 [자유글] “육아휴직 맘 편히 쓰니 일할 맛 나요” imagefile babytree 2010-12-06 21399
3166 [자유글] 아파트안 작은 도서관 괜찮네요 베이비트리 2011-12-02 21380
3165 [요리] 유기농 반찬가게 “건강을 버무려요” imagefile babytree 2010-04-27 21295
3164 [자유글] 육아휴직 뒤 ‘100% 복직’…‘재택근무’의 놀라운 힘 imagefile babytree 2010-12-06 21257
3163 실명 부르는 '황반변성'…"담배부터 끊으세요" imagefile babytree 2010-10-12 21193
3162 [자유글] 포.대.기.... 전 정말 힘들던데 imagemoviefile [4] anna8078 2012-02-20 21182
3161 [자유글] ‘육아필수 앱’ 아이 울음·부모 불안 달랜다 image sano2 2011-07-12 21058
3160 [요리] 지지고 볶는 한가위 ‘건강 부침개’ imagefile babytree 2010-09-14 21039
3159 [요리] 쫄깃쫄깃 탱탱 소바의 계절이 왔어요~ image 베이비트리 2012-05-10 21020
3158 “한 판만 더”…멈출 수 없는 병 ‘도박 중독’ imagefile babytree 2010-09-28 21016
» 비 맞으며 낭만 젖다 피부병 생길라 imagefile babytree 2010-06-22 20912
3156 [자유글] 국격 높아진다는데 복지수준 ‘바닥’ [한겨레 3월15일자] imagefile babytree 2010-04-26 20875
3155 [직장맘] [베이비트리가 콕콕 짚어줘요] ⑥ 직장맘,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04-30 20865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