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머릿속 지우개’ 운동하면 사라지네

조회수 18238 추천수 0 2010.08.24 10:09:04

폭염 속 건망증 대처법



집중력 떨어져 ‘깜빡깜빡’

혈액 순환·영양 공급 필요

기억장애일 뿐 치매와 달라



 



823fe57f38dd2cf9936dfbed69928f53.






한낮 기온이 30도를 넘는 폭염이 9월 초까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폭염에 물건이나 할 일을 잘 잊어버리는 건망증이 심해지는 이들도 있다. 특히 노인들 가운데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이들이 많다. 일부 노인들은 치매의 초기 증상으로 여기기도 하고, 병원을 찾아 각종 검사를 받기도 한다. 관련 전문의들은 폭염과 같은 기상 조건이 스트레스를 더 높이고 이에 따라 건망증도 더 심하게 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폭염으로 더 심해질 수 있는 건망증을 줄이는 방법과 치매와의 구별법을 알아본다.



 



■ 증세 악화시키는 폭염



건망증을 더 심하게 하는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가 스트레스다. 긴장하거나 불안 또는 압박감을 느끼면 그 자체가 스트레스로 작용해 집중력이 떨어지고 건망증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요즘같이 폭염으로 불쾌지수가 높아져도 스트레스로 작용해 더 자주 깜빡깜빡하는 일이 많아질 수 있다. 게다가 빨래, 청소, 설거지 등 여러 가지 가사 노동을 하는 여성 노인들은 이 건망증이 나타나기 더 쉽다. 이런 일은 매일 반복되기 때문에 아무 생각 없이 할 수 있어 뇌에 지적인 자극을 거의 주지 않기 때문이다. 하루에도 가사 노동을 수십 가지 처리하다 보면 자연스레 뇌의 집중력이 떨어져 건망증에 노출되기 쉬운데다가, 요즘처럼 아침부터 더위가 몰려오면 뇌의 집중력은 더 떨어지면서 건망증이 심해지는 것이다.



이런 건망증을 줄이려면 뇌에 적절한 자극을 줘야 하는데 규칙적인 운동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운동을 하게 되면 혈액 순환이 더 활발해지면서 뇌로 전해지는 산소와 영양공급이 늘어 뇌 세포의 활동이 왕성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운동 그 자체가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돼 역시 건망증의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 더위가 한창인 오후 시간대를 피해 아침이나 저녁 시간에 한번에 30분~1시간, 일주일에 3번 정도 운동을 꾸준히 하면 된다. 아울러 평소 실내온도를 25~26도 정도로 맞추고, 하루 6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는 것이 건망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건망증이 있다고 해도 스스로 좌절하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기억력이 떨어진다는 생각과 함께 자신의 기억력을 우선 신뢰하고,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당황하지 말고 충분한 시간을 가지면서 기억을 되살려야 한다. 또 기억하고자 하는 일을 선택해 최대한 집중하도록 하며, 주의 산만하지 않도록 정리정돈해야 한다. 하루의 일과를 기록하는 습관을 갖는 것도 필요하고, 건망증을 더 심하게 할 수 있는 음주나 흡연,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삼가는 것이 좋다.



 



■ 치매와 어떻게 다른가



건망증은 의학 용어로는 ‘단기기억장애’로 부르며, 뇌의 검색 능력에 일시적인 장애가 생긴 것이다. 대부분의 건망증은 폭염 등과 같은 기상조건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일시적으로 심해지는데, 이와는 달리 만성 스트레스,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 같은 만성 질환을 앓고 있다면 이런 건망증은 더 심해질 수 있다. 이때는 종종 평소 쓰던 단어가 순간적으로 떠오르지 않는 언어장애나 시간과 장소의 혼동에 의한 판단력 장애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 때문에 치매의 초기 증상과 혼동하기도 한다.



하지만 건망증은 뇌 세포의 손상으로 지적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치매와는 별개의 증상이다. 우선 건망증은 단순한 기억장애일 뿐 다른 지적 기능은 문제가 없으며, 또 대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이 동반된다. 이와는 달리 치매는 어떤 병적인 원인 때문에 뇌 세포가 급격히 파괴되는 것을 말하며, 사고력이나 판단력에도 문제가 생기면서 성격도 변할 때가 대부분이다. 아울러 건망증은 스스로 잊어버렸던 것에 대해 알아차리지만, 치매인 경우에는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도움말: 부선희 서울시북부노인병원 신경과 과장, 오병훈 연세의대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교수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094 [직장맘] 아이들 저축 뭐하세요? [2] yahori 2011-12-08 18537
3093 [가족] 바른 식습관- 먹고 사는 재미를 알다. imagefile [8] 리디아 2012-05-08 18485
3092 남모를 ‘소변 고통’ 습관 바꿔 고친다 imagefile babytree 2010-06-29 18468
3091 [직장맘] 모처럼 일찍 온 신랑, 적응 되요? imagefile js503 2010-07-13 18387
3090 [자유글]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한-미 FTA 이야기 image 베이비트리 2011-11-25 18372
3089 [자유글] [베이비트리가 콕콕 짚어줘요]④아이가 산만하다고요?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3-03-07 18359
3088 [자유글] 어린이집 ‘IPTV 생중계’ 찬성하세요? imagefile 김미영 2010-06-15 18345
3087 '건강 걷기'첫걸음은 바른 자세와 맞는 신발 imagefile babytree 2011-02-15 18328
3086 [나들이] 완행버스 전국여행 - 속초에서 화진포까지 1박2일 image 베이비트리 2015-06-18 18313
3085 [자유글] 서천석 샘 트윗 - 선행학습, 학습공간 등 image [3] sano2 2012-02-28 18302
3084 [다이어트 46화] 4개월만에 그렇게? imagefile 김미영 2010-07-20 18252
3083 [자유글] [한겨레프리즘] 아이의 은밀한 사생활 생중계 imagefile 김미영 2010-06-23 18247
» ‘내 머릿속 지우개’ 운동하면 사라지네 imagefile babytree 2010-08-24 18238
3081 [건강] [베이비트리가 콕콕 짚어줘요] ③ 동생이 생겼어요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3-01-11 18215
3080 휴가 때 꼭 해야할 한가지 ‘쉼’ imagefile babytree 2010-07-20 18205
3079 [자유글] 베이비트리에 공개한 ‘엄마·아빠표 장난감’ imagefile 김미영 2010-12-21 18192
3078 [자유글] 예방접종 관리 어플리케이션 ‘엄마를 도와줘’ 출시 imagefile babytree 2011-04-12 18185
3077 [자유글] “아이와 함께 출퇴근” 기업 어린이집 늘어 [한겨레 3월31일자] imagefile babytree 2010-04-26 18159
3076 [자유글] 모유수유 주간 맞아 각종 행사 열려 imagefile 양선아 2010-07-21 18156
3075 [다이어트 16화] 이 죽일 놈의 정체기 imagefile 김미영 2010-06-16 18153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