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는 세가지 역할의 저자의 모습이 나옵니다.
두 아이의 엄마, 학교 선생님,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내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좋은 엄마됨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남은 두 가지의 모습이 어떤지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줍니다.
결국 자신의 일을 사랑하고 열정적으려 하면서 남편과의 사랑을 유지하는 것이 육아도 행복하게 잘 해나갈 수 있는 길이라는 이야기이지요.
부모의 몫 중 아이들이 자신의 삶을 사랑하도록, 내
삶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는 게 너무 절실하고 바빠 자식과 함께
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도, 시간적 여유도 없어 자녀들에게 ‘어쩔 수 없는 자유’를 줄 수밖에 없었던 우리 부모 세대에게서 얻은
교훈과 스스로 터득한 삶의 지혜 덕분에 지금의 우리가 있듯이 말이다.
나는 ‘좋은 엄마’보다 ‘행복한 엄마’가
되고 싶다.
이미 머리로 알고 있는 부분이어도 여러 책을 읽고 다시 그 의미를 되새기고 아주 조금씩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제 모습을 보게 됩니다.
책을 읽으면서 저의 과거의 모습이 생각났습니다.
(지금도 많이 달라진건 아니지만 노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점수를 주자면 그 당시에는 아이 입장에서 전혀 생각할 줄 모르는 부족한 엄마였지요.)
둘째를 출산하고 3개월의 출산 휴가 이후 2개월의 육아휴직을 더 가졌습니다. 그 시간 동안 평소 많은 시간을 함께 하지 못한 첫째에게 많은 것을 해주고 싶은 마음이었습니다. 하지만 두 아이와 함께했던 그 시간은 생각보다 녹록지 않았습니다. 이제 막 백일을 지난 둘째를 보는 일도 힘들었지만 그것보다 더 힘든건 첫째와의 시간이었습니다. 아침마다 오늘은 즐거운 시간은 보내야지 하는 다짐은 분노와 소리지름, 결국 죄책감으로 마무리되기 일쑤였습니다. 신랑에게도 이뿐말 보다 짜증스런 말이 나갈 때가 많았습니다.
지금에서야 그 시간에 가장 큰 잘못은 저에게 있었다는 것을 압니다.
이제 막 동생이 생긴 첫째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고, 잘 해보려고 하는 제 마음이 화살이 되어 아이를 얼마나 힘들게 했을까요?
간만에 엄마와 있는 시간이 더 힘들었을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다시 그런 시간이 오면 더 잘 할 수 있을까요? 그것 또한 자신있게 말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내 기준에서 생각하는 욕심을 버리고 아이의 입장에서 조금 더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완벽이란 말을 붙일 수 있는 것이 많지만 육아에는 붙일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불완전한 엄마와 불완전한 아이가 만들어 가는 그 시간이 완벽할 리는 없지만 다만 엄마인 내가 하는 노력이 아이를 행복하게 하는지 괴롭게 하는지는 꼭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엄마가 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삶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는 것, 용기를 내야 할 때 용기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이를 키우는 데 교구, 교재, 책 그 무엇보다 우선인 것은 엄마의 목소리로 불러주는 자장가 한 소절, 아이가 마음껏 파고들 수 있는 엄마의 따뜻한 가슴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주말 산책... 가끔씩은 조금 떨어져서 아이를 기다려주는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