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기가 잠을 잘 안자요. 어떻게 하죠?”
“우리 아기는 잠을 1시간 이상 푹 자지 않아요.”
“ 우리 아기는 밤새도록 낮처럼 자주 깨서 젖 먹어요.”
“ 엄마 아빠 잠 좀 자게 해주세요.”
유난히도 잠을 잘 자지 않아서 엄마 아빠를 힘들게 하는 아기들이 있습니다.
수면은 운동자의 빠르고 불규칙한 움직임이 있는 빠른 운동 수면(REM 수면)과 규칙적이며 안구 운동 없이 조용한 수면(NREM 수면) 2가지가 있습니다. 빠른 운동 수면은 뇌파 검사 상 깨어있는 것과 유사하며, 눈은 눈꺼풀 아래로 힐끗 보이기도 하고 심장 박동, 혈압, 호흡은 고르지 않고 몸도 약간씩 움직입니다. 아기들이나 성인 모두 수면 시에 이들 2가지 수면이 반복됩니다. 그러나 신생아들은 REM 수면이 더 길어서 전 수면의 50%를 차지하며, 2세경이 되면 성인과 비슷하게 20% 정도가 됩니다. 성인은 REM 수면 동안 많은 꿈을 꾸지만 신생아들은 REM 수면 동안 아주 중요한 중추 신경계의 성장을 이루게 됩니다. 어린 아기들은 깨어 있는 시간이 적고 깨어 있는 동안 주변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이런 자극이 더 필요하지요. 정상적으로 태어난 신생아보다 외부 자극에 덜 민감한 태아나 미숙아에서 REM 수면의 비중이 더 크지요. 또 잠을 자는 동안 눈 움직임은 눈의 유리체에 산소 공급을 하여 눈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조금 자주 깨더라도 우리 아기가 자라고 있는 시간이구나 하세요. 낮 밤 동안 신생아들은 5차례 정도 자고 깨는 것을 반복하며, 하루 16~18시간 잠을 잡니다. 특히 신생아는 수면 주기가 성인의 약 90분과 달리 60분 정도로 짧아서 자주 깨게 됩니다. 영아기가 되면 12~13시간 잠을 자고 주기도 성인과 비슷하게 발전하게 됩니다. 낮잠은 6~9회 정도에서 하루 2회 정도로 줄고, 4~5세가 되면 낮잠을 자지 않게 되지요. 만 1세가 되면 아기들도 어른과 같이 잠자고 깨는 주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 부모와 함께 자는 경우 수면 주기가 더 길게 유지된다고 합니다.
잠을 많이 자고 잘 자는 아기를 가진 부모에 비해 많이 울고 잠을 자지 않아 양육을 잘 하지 못하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거나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더 힘이 들게 되지요. 그러나 깨어 있는 시간이 많은 아기들은 더 많은 자극과 탐색의 기회를 가지게 되어 지능 발달에 더 이득이 된다고 하는 학자들의 연구가 많습니다.
“ 잘 자지 않는 아기들은 어떻게 해요?”
참 어려운 질문입니다. 자기 전에 따뜻한 물에 목욕을 시킨다거나, 방을 어둡게 하고 조용하게 하여 수면을 도움을 줄 수도 있지요. 또 영아들은 2~3개월까지 어둠과 밝음에 반응을 잘 하기 때문에 낮 시간 동안 유모차를 태워 밝은 빛에 노출을 많이 시키면 밤에 더 잠을 잔다는 보고도 있어 한번 시도하여 보시지요.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