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완벽주의 척도

2012. 11. 12
조회수 9430 추천수 0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완벽주의 척도는 캐나다의 Hewit와 Flett가 개발했으며,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한 완벽주의 의 3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 용

1

일단 일을 시작하고 나면, 다 끝마칠 때까지는 쉬지 않는다.

1

2

3

4

5

6

7

2

다른 사람이 일을 너무 쉽게 일을 너무 쉽게 포기하는 것을 봐도 욕하지 않는다.

1

2

3

4

5

6

7

3

나와 가까운 사람이 성공하느냐 안 하느냐의 여부는 그리 중요한 일이 아니다.

1

2

3

4

5

6

7

4

친구가 최선이 아닌 선택을 해도 비난하지 않는다.

1

2

3

4

5

6

7

5

남이 내게 기대하는 것에 맞추기가 어렵다.

1

2

3

4

5

6

7

6

나의 목표는 모든 일에서 완벽해지는 것이다.

1

2

3

4

5

6

7

7

다른 사람이 하는 모든 일은 최고 수준이어야 한다.

1

2

3

4

5

6

7

8

일을 하면서 완벽을 기하지는 않는다.

1

2

3

4

5

6

7

9

주위사람들은 내가 실수를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6

7

10

주위 사람들이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을 봐도 나는 별로

문제삼지 않는다.

1

2

3

4

5

6

7

11

내가 일을 잘 할수록 사람들은 더 잘 할 것으로 기대한다.

1

2

3

4

5

6

7

12

나는 완벽해지고자 하는 욕구가 거의 없다.

1

2

3

4

5

6

7

13

내가 하는 일이 최고가 아니라면 사람들은 나를 형편없게 볼 것이다.

1

2

3

4

5

6

7

14

나는 가능한 한 완벽하려고 애쓴다.

1

2

3

4

5

6

7

15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하는 것이 나에게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1

2

3

4

5

6

7

16

나에게 중요한 사람들에게 큰 기대를 한다.

1

2

3

4

5

6

7

17

내가 하는 모든 일에서 최선을 다한다.

1

2

3

4

5

6

7

18

주변 사람들은 내가 모든 일에서 성공하기를 기대한다.

1

2

3

4

5

6

7

19

나는 주위사람들에 대해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1

2

3

4

5

6

7

20

나 자신이 완벽해지기를 바란다.

1

2

3

4

5

6

7

21

내가 모든 일을 다 잘하지 않더라도 사람들은 나를 좋아할 것이다.

1

2

3

4

5

6

7

22

더 나아지려고 노력하지 않는 사람들을 보면 참을 수가

없다.

1

2

3

4

5

6

7

23

내가 한 실수를 발견하게 되면 매우 속이 상하다.

1

2

3

4

5

6

7

24

친구들에게 많은 것을 기대하지는 않는다.

1

2

3

4

5

6

7

25

성공이란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도록 더욱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2

3

4

5

6

7

26

내가 누군가에게 일을 부탁한 경우, 그 일이 완벽하게 되어 있기를 기대한다.

1

2

3

4

5

6

7

27

나와 가까운 사람들이 실수하는 것을 참을 수가 없다.

1

2

3

4

5

6

7

28

나는 목표를 완벽하게 세우려고 한다.

1

2

3

4

5

6

7

29

내게 중요한 사람들은 결코 나를 실망시켜서는 안 된다.

1

2

3

4

5

6

7

30

내가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사람들은 나를 괜찮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1

2

3

4

5

6

7

31

나는 사람들이 내게 너무 많은 요구를 한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6

7

32

나는 항상 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일해야 한다.

1

2

3

4

5

6

7

33

내가 실수했을 때 사람들은 비록 나타내지는 않지만 매우 실망할 것이다.

1

2

3

4

5

6

7

34

내가 하는 모든 일에서 최고일 필요는 없다

1

2

3

4

5

6

7

35

나의 가족은 내가 완벽하기를 기대한다.

1

2

3

4

5

6

7

36

나 자신에게 매우 높은 목표를 세우지 않는다.

1

2

3

4

5

6

7

37

부모님은 내가 하는 모든 일에서 뛰어나기를 기대하지는

않는다.

1

2

3

4

5

6

7

38

나는 평범한 사람을 존경한다.

1

2

3

4

5

6

7

39

사람들은 나에게서 완벽함을 기대한다.

1

2

3

4

5

6

7

40

나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부여한다.

1

2

3

4

5

6

7

41

사람들은 내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것을 기대한다.

1

2

3

4

5

6

7

42

나는 학업에서나 일에서나 항상 성공해야만 한다.

1

2

3

4

5

6

7

43

친한 친구가 최선을 다하지 않아도 내게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1

2

3

4

5

6

7

44

내 주위의 사람들은 내가 실수를 할 경우에도 여전히 나를 유능하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6

7

45

나는 다른 사람들이 모든 일을 잘 할 것이라고 기대하지는 않는다.

1

2

3

4

5

6

7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그렇지 않은 편 4:보통이다. 5:그런 편이다. 6:그렇다. 7:매우 그렇다.


위의 점수를 모두 더하세요. 

단,  2, 3, 4, 5, 8, 9, 10, 12, 19, 21, 24, 30, 34, 36, 37, 38, 43, 44, 45번 문항은 채점을 반대로 해주세요. 

즉, 1점 7점, 2점→ 6점, 3점 → 5점, 5점 → 4점, 6점 → 2점, 7점 → 1점으로 반대로 계산해주시면 됩니다.


<결과>

  • 90점 이하: 매우 편안하고 느긋한 스타일이지만 자신을 보다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 91-150: 여유있고 편안하며 긴장을 잘 하지 않는다. 가끔은 자신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 151-210: 조화롭고 적절히 균형 잡혀 있는 상태이다.
  • 211-270: 완벽해지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인에게도 스트레스를 주고 있을 수 있다.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에 대해 좀더 관대해질 필요가 있다.
  • 271이상: 삶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왜 필요이상으로 완벽해지려 력하고 있는지 그 근원적인 이유에 대한탐색과 성찰이 필요하다. 위험 수위
(*제공: 김현철 정신의학 전문의)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완벽주의, 척도



  • 수포자·영포자들 감긴 눈 뜨게 할수 있을까수포자·영포자들 감긴 눈 뜨게 할수 있을까

    양선아 | 2019. 04. 26

    [뉴스AS] 정부 ‘기초학력 보장 강화’ 정책지난해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결과에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늘면서 기초학력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사진은 과거 일제고사 형태로 성취도 평가를 할 때 초등학생들이 시...

  • 키는 안 크고 몸무게는 늘고 식습관은 안 좋고…학생들 건강 ‘적신호’키는 안 크고 몸무게는 늘고 식습관은 안 좋고…학생들 건강 ‘적신호’

    양선아 | 2019. 03. 28

    국내 초·중·고등학생들의 키 성장세는 주춤한 반면 몸무게는 늘어 비만율이 높아지는 ‘적신호’가 켜졌다. 중·고등학생 다섯명 중 한명은 아침 식사를 거르는가 하면, 주 1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먹는다고 답한 고등학생이 무려 80.54%에 이르는 등...

  • 1월 출생아 4년 만에 1만명 줄어…범정부 인구정책 TF 구성1월 출생아 4년 만에 1만명 줄어…범정부 인구정책 TF 구성

    베이비트리 | 2019. 03. 27

    ‘1월 인구동향’ 1월 출생아수 3만3백명 기록2015년 4만1900명 뒤 해마다 역대 최저치인구 1천명당 출생아 6.9명으로 7명대 져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발표 예정에 이어관계부처·연구기관 ‘태스크포스’ 구성하기로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영유아 자기조절력은 부모 양육방식에 좌우영유아 자기조절력은 부모 양육방식에 좌우

    베이비트리 | 2019. 03. 25

    아이 아빠가 2~3살 아이들에게 자꾸 스마트폰을 보여줘요Q. 3살과 2살 연년생 남매를 둔 가정주부입니다. 남편과 양육관이 달라 고민입니다. 특히 스마트폰 문제로 다툴 때가 많습니다. 남편에게 아이들과 놀아주라고 하면 주로 스마트폰을 보여줍니...

  • 한유총 차기 이사장 선거, ‘이덕선의 후예’ 김동렬 단독 출마한유총 차기 이사장 선거, ‘이덕선의 후예’ 김동렬 단독 출마

    양선아 | 2019. 03. 20

    동반사퇴 제안했다가 철회하고 단독출마 ‘유아교육법 시행령 반대’ 등 강성 기조 개학연기 투쟁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한유총의 차기 이사장 선거에 ‘이덕선 현 이사장의 후예’로 꼽히는 김동렬 수석부이사장이 단독 출마하기로 했...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