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요?
2004년과 2009년 통계표가 있네요.
* 출처 : e나라지표 www.index.go.kr
[지표설명]
■ 지표개념
○ 국민이 하루 24시간 중 가족과 함께하는데 소요한 시간량
■ 의의 및 활용도
○ 국민들이 주어진 하루 24시간 중 가족과 함께한 시간을 파악하여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가족과 일의 양립을 위한 가정친화적 정책수립 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 2009년 전국민(10세 이상)이 가족과 함께한 시간은 1일 평균 2시간 51분으로 나타났으며,
- 가정관리(1시간 27분), 가족과의 식사( 37분), 가족 보살피기(25분)순임
- 가정관리(가사)에는 여성이 2시간 26분으로 남성의 27분보다 1시간 59분간을 더 사용하고 있음
○ 20세 이상 전체 성인의 경우 1일 평균 3시간 13분을 가족과 함께하는 것으로 조사됨
○ 학생의 경우(초,중,고,대학생) 1일 평균 59분을 가족과 함께하고 있으며, 65세 노인의 경우 3시간 32분을 가족과
함께함
- 학생 : 가족과의 식사(29분), 가정관리(18분), 가족 및 친척과의 교제(5분) 순임
- 노인 : 가정관리(2시간 7분), 가족과의 식사(51분), 가족보살피기(12분) 순임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 여성의 노동참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핵가족화, 한부모, 조손가족, 노인부부가족, 다문화가족 등의 가족의 변화와 촉진되고 있는 상황임
○ 이러한 가족 구성의 소규모화, 개인주의적인 경향, 일 중심적인 사회분위기 등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시간마련에 저해요인으로 작용
○ 기존의 일중심적인 사회분위기에서 일과 가족생활의 조화로운 양립을 추구하기 위해서 가족친화적 정책 추진
- 일가족양립정책의 인프라로서 보육정책의 지속적 확대
- 취업부모의 보육서비스 접근성 제고
- 직장보육시설의 확대
- 육아휴직 실효성 강화
- 남녀의 동등한 육아참여와 가족시간 공유
- 일가족양립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중 캠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