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세 살 눈 여든까지 간다

이윤상 2016. 09. 06
조회수 14906 추천수 0
아기사진.jpg » 사진 출처: pixabay.com
 
 
“몸이 천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다”라는 말을 흔히 듣는다. 심장, 간 등 우리 몸에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지만 눈 또한 그 못지않게 소중하다는 뜻일 것이다. 개인적으로도 안과의사로서 30년 이상 환자를 보면서 창조주의 위대함에 늘 경외로움을 느낀다.

눈은 다섯 가지 감각기관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 본 것을 뇌로 전달해 빛과 같은 속도로 적절한 행동과 다양한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게 한다. 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위와 긴밀하게 반응한다. 눈은 해부학적으로도 우리 얼굴에서 가장 중앙에 자리잡고 있고, 눈동자는 늘 움직여 다른 사람의 눈길을 끈다. 아주 오랜 친구의 귀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억하는 사람은 드물지만 눈은 세월이 흘러도 머리속에 남는다. 
어쨌든 눈은 구백 냥까지는 안된다 하더라도 사백 냥쯤은 된다. 
20160905_눈의구조.jpg » 눈의 구조. 이미지 제공 이윤상.

안구는 500원 동전 크기(직경 24mm) 정도밖에 되지 않으나 그 안에 소우주가 있다 할 만큼 아주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사물을 인식하게 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흔히 검은 동자라고 하는 투명한 각막에서 빛이 굴절되어 수정체를 통해 망막에 상이 맺히게 되며 이렇게 맺힌 상은 시신경을 통하여 대뇌에 전달된다. 

안구 중에는 망막이 가장 중요하다. 망막에는 한 눈에 무려 1억2천7백만 개 정도의 시세포가 있다. 그 두께는 0.3mm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각각 기능이 다른 열 겹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모여진 정보는 직경 3mm 정도의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데 한 눈에 약 120만개의 신경가닥이 통과한다. 약 3만1천개의 신경가닥이 있는 청각신경의 40배다. 시신경 가닥은 뇌로 들어가는 모든 감각신경의 신경가닥의 약 40%를 차지한다. 

부모들의 일반적인 상식보다 눈 검사는 아주 더 빨리, 더 꼼꼼히 이루어 져야 한다. 적절한 시기를 놓치면 평생 후회할 수 있다. 일부 학자는 눈을 뇌의 일부로까지 본다. 뇌와 직접 연결되어 있고 조직의 구조가 뇌와 아주 흡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눈은 뇌와 거의 같은 속도로 아주  빨리 발달한다. 태아의 눈은 임신 5주 때부터 생겨나 다른 조직이나 기관에 비해 빨리 성장한다. 

출생 후에도 눈의 발달은 아주 빠르다. 시신경은 생후 수주 내 만들어지고 각막은 2살 때, 안구는 7~8살이 되면 성인과 같아진다. 눈동자의 움직임은 생후 6개월, 눈물기관은 3개월 뒤면 완성이 된다. 수정체는 이 시기에 부드러운 소프트 프라스틱에서 점차 유리같이 단단해진다. 

더 흥미로운 것은 눈의 굴절력의 변화이다. 아기는 약 80%가 원시, 5%가 근시, 그리고 15%가 정시로 태어난다. 7~8살까지는 원시로 진행하다가 그 이후에는 점차 근시로 진행해 25살 전후까지 계속된다. 구체적으로 눈은 어떤 시기에 어떠한 점을 살펴보아야 하며 어떤 경우에 안과적인 진찰을 받아야 할까.

먼저, 외형적인 모습을 꼼꼼히 관찰해야 한다. 
 
0905_선천성백녹내장.jpg » 선천성 백내장(왼쪽), 선천성 녹내장(오른쪽). 사진 제공 이윤상.
검은 동자가 맑지 않고 흐리다거나(각막혼탁, 각막변성), 또는 검은 동자의 색깔이 옅은 초록색을 띈다거나(선천성 녹내장), 동공을 통한 눈속이 맑지 않고 희게 보인다거나(선천성 백내장), 또는 눈속에서 예쁜 불빛 같은 것이 보인다거나(망막종양) 할 때에는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각막혼탁이나 선천성 백내장과 녹내장은 빨리 적절한 조처를 취하면 완전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으나 그 시기(생후 2-3개월)를 놓치면 시력을 잃어 영원히 약시가 될 수 있다. 망막종양의 경우에는 생명까지 위협한다.

둘째, 시력을 챙겨보아야 한다.
 
갓난애는 정확한 시력을 알 수가 없다. 우선 전반적으로 사물을 잘 따라 보는지, 두 눈의 시력에는 차이가 없는지 등을 살펴 보아야 한다. 사물을 잘 따라 보지 못할 때에는 뇌에도 이상이 있을 수 있고 눈의 이상으로도 올 수 있다. 두 눈의 시력 차이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종이나 손으로 한쪽 눈을 가렸을 때 애기의 표정이 좋지 않다거나 목을 다른 곳으로 돌릴 때에는 그 눈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두 눈의 시력에 차이가 심할 때에는 나쁜 쪽 눈이 약시가 되어 사시가 될 수 있다. 

3~4살이 되면 정확한 안과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 무렵부터는 6개월마다 정기적인 안과 진찰을 받아 정확한 시력관리가 필요하다. 안구는 7~8살이 되면 다 자라고 이 무렵부터 근시의 진행이 아주 빨라진다. 따라서 초등학교를 들어가기 전에 정확한 진찰과 처방으로 근시의 진행을 최대한 막아야 한다. 

셋째, 사시의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20160905_내사시.jpg » 내사시. 사진 제공 이윤상.
두 눈의 움직임은 생후 6개월이 되면 거의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 시기를 지나 두 눈의 움직임이 이상하다거나, TV나 먼 곳을 쳐다 볼 때 한쪽 눈의 눈동자가 딴 곳을 보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

마지막으로, 눈물의 생성은 생후 3개월이 되면 완성이 된다. 
이 시기를 지나 애기가 울어도 눈물이 나지 않는다면 꼭 진찰을 받아야 한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이윤상
현재 씨엔비 안과의원 원장.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카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학위 취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대한안과학회 콘택트렌즈 연구회 교육이사를 맡고 있으며 성장기 학생의 진행성 근시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연구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이메일 : dryslee@hanmail.net      
블로그 : http://blog.naver.com/candbok0
홈페이지 : http://icansee.co.kr/

최신글




  • 우리 아이 사시 아닌가요?우리 아이 사시 아닌가요?

    이윤상 | 2017. 06. 23

    소아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보아야 할 것 중에 하나가 사시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사시는 조기에 발견하지 못해 그 시기를 놓치게 되면 시력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성장기에 있는 소아 청소년에 있어서는 외관상 문제와 더불어...

  • 우리 아이 난시가 있어 걱정이에요우리 아이 난시가 있어 걱정이에요

    이윤상 | 2017. 03. 17

    이번 칼럼에서는 난시란 어떤 것이며 난시가 있을 때 눈 또는 전신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그 관리 및 교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1. 난시란 눈의 어떤 상태를 말하는 것인가요?거의 대부분 난시는 각막에서 생기는 현상인데 그 형태가 ...

  • 근시진행 막을 수는 없나 ②수면착용교정렌즈 Q&A근시진행 막을 수는 없나 ②수면착용교정렌즈 Q&A

    이윤상 | 2017. 01. 26

    지난 호에 이어서 소아 근시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수면착용교정렌즈(드림, OK렌즈)에 대한 질문과 답을 몇 가지 더 소개해 보기로 한다. 문1. 아이가 어려서 그런데 몇 살부터 가능한가요, 또한 시술을 받으면 결과가 좋을까요? 답1. 눈은 ...

  • 근시진행 막을 수는 없나 ①근시는 왜 생길까근시진행 막을 수는 없나 ①근시는 왜 생길까

    이윤상 | 2016. 11. 24

    그동안 근시가 왜 생기며, 왜 진행이 빨라지며, 눈에는 어떻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나를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근시를 어떻게 관리 해야 하며 그 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근시는 빨리 발견하여 빨리 대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

  • 눈의 보약은 '멀리, 더 멀리'눈의 보약은 '멀리, 더 멀리'

    이윤상 | 2016. 10. 03

    전세계적으로 최근 20년 사이 근시의 인구가 아주 빨리 증가할 뿐 아니라 나빠지는 속도도 빠르고 시작 시기 또한 아주 빨라지고 있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 그 정도가 얼마나 심각한가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경우 최근 20년 사이...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