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다솜도서관가 한겨레신문 기사에 소개되었네요
아파트안에 사서와 자원봉사자가 있는 작은 도서관이 있고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아이들을 돌봐주기도 하는 시스템이랍니다.
엄마·아이 좋아라…작은 마을 돌봄둥지
<한겨레 사람과 풍경>
여성노동자회·여성재단 뜻 모아
아파트 안 개관…사랑방 역할도
태현(9)이는 학교에서 돌아온 뒤 도서관으로 간다. 아파트 안 82.5㎡(25평) 남짓한 작은 도서관에서 책도 읽고 친구들과 놀이도 즐긴다. 수요일인 지난 30일 오후 태현이는 영우(8) 등 친구들과 딱지놀이를 했다. 신문지와 재활용 용지로 딱지를 직접 접었다. 화요일엔 책을 읽은 느낌을 선생님과 친구들에게 이야기한다. 목요일엔 채소, 과일, 생선 등 시장에 나오는 갖가지 물건을 종이로 만든 뒤,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만큼 물건을 말판으로 옮기며 놀면서 엄마를 기다린다.
광주 광산구 첨단지구 호반리젠시빌3차 아파트 안 다솜도서관(관장 김도훈)은 지난해 10월 문을 열었다. 이 도서관은 보육사를 배치해 아이를 돌봐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광주여성노동자회(회장 주경미)는 맞벌이 부부의 최대 고민인 아이 돌봄 문제를 돕기 위해 대안 마을 보육 공동체를 떠올렸다.
한국여성재단 지원을 받아 지난해 5월과 10월에 광산구 신가도시공사 아파트와 상무지구 주공버들마을 아파트, 북구 임동 주공 뜨란채 아파트 등 4곳에 ‘보육 도서관’을 개관했다.
“방과 후에 아이들이 오면 봐주다가 학원도 보내주지요. 맞벌이하는 엄마들의 반응이 좋아요.”
다솜도서관 보육사 이미경(45)씨는 아이들에게 엄마의 퇴근 전까지 ‘이모 같은 보호자’다. 이씨 등 보육사 2명은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도서관 사서 일을 보며 아이들도 돌본다. 월~금요일 오후 3시30분~4시30분과 오후 5~6시 두차례에 걸쳐 15명의 어린이들이 오후 시간을 다솜의 품에서 보낸다.
최근 광산구청에서 1명의 자원봉사자를 지원해줘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보육사 이씨는 “아이들과 책 이야기도 나누고, 놀이도 함께 하면서 가족 같은 정이 쌓였다”고 말했다.
다솜도서관은 주민들의 사랑방 구실도 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두달에 한차례 만나 차를 마시며 보육 문제와 도서관 운영 방안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학부모들은 올해 손수 만든 팔찌·반지를 마을장터에서 판매한 수익금을 ‘인도 소외계층을 위한 소와 염소 사주기 운동’ 성금으로 기부하기도 했다. 김은숙(42) 호반아파트 관리소장은 “이달 말로 여성재단 지원이 끝나 보육 프로그램이 중단될 예정이어서 매우 아쉽다”며 “작은 도서관 지원 조례를 제정한 순천시처럼 자치단체에서 작은 도서관 돌봄 프로그램이 지속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