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어린이·청소년 10명 중 4명 “매일 욕한다”

베이비트리 2018. 10. 08
조회수 2842 추천수 0
전교조 한글날 맞아 초4~고3학년 669명 설문
49.5%가 초교 때 배워…어른부터 하지 말아야

전교조 대전지부 설문 조사.
전교조 대전지부 설문 조사.

어린이·청소년은 10명 가운데 4명꼴로 매일 한 번 이상 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욕에 대해 5명은 초등학교 때 배웠으며, 2명은 ‘꼭 필요할 때는 해야 한다’고 여겨 초등학교의 바른말 교육이 강화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한글날 572돌을 앞두고 대전지역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교 3학년까지 669명을 설문했더니 42.8%가 ‘매일 한 번 이상 욕한다’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특히 이 가운데 8.7%는 ‘욕을 입에 달고 산다’고 대답했다. 욕을 하는 이유로는 △습관(26.7%) △스트레스 해소(24.8%) △친근감 표시(20.3%) △남들이 쓰니까(8.7%) △센 척하고 싶어서(5.1%) 차례였다.

욕을 처음 배운 시기는 초등학교 고학년 때가 49.5%, 초등학교 저학년 때가 24.4% 등으로 응답자의 73.9%가 초등학교 때 욕을 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 49.8%는 ‘욕은 나쁜 말이니 쓰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으나, 22.9%는 ‘꼭 필요할 때는 욕설을 해야 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어린이·청소년들은 직접 만나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대화할 때 모두 욕을 쓴다고 답했다.

욕을 안 하는 방법으로는 ‘스스로 자제해야 한다’는 대답이 81.6%에 달했다. 고운말, 바른말을 사용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욕하면 반성문을 쓰게 하거나 벌점을 부과한다’, ‘고운말 쓰는 날을 지정해 캠페인을 한다’, ‘말하기 교육을 강화한다’, ‘어른들부터 욕을 하지 말아야 한다’ 등이 꼽혔다.

신정섭 전교조 대전지부 대변인은 “어린이·청소년들은 대부분 초등학교 때 욕을 배우고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래 문화로 포장된 은어와 비속어에 욕설을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는 언어 습관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며 “아이들의 말글살이가 망가진 것은 경쟁과 차별이 판치는 세상을 만든 어른들의 책임이다. 아이들이 끼와 개성을 발휘하는 사회적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베이비트리
안녕하세요, 베이비트리 운영자입니다. 꾸벅~ 놀이·교육학자 + 소아과 전문의 + 한방소아과 한의사 + 한겨레 기자 + 유쾌발랄 블로거들이 똘똥 뭉친 베이비트리,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어 찾아왔습니다. 혼자서 꼭꼭 싸놓지 마세요. 괜찮은 육아정보도 좋고, 남편과의 갈등도 좋아요. 베이비트리 가족들에게 풀어놓으세요. ^^
이메일 : hanispecial@hani.co.kr       트위터 : ibabytree       페이스북 : babytree      
홈페이지 : http://babytree.hani.co.kr

최신글




  • 수포자·영포자들 감긴 눈 뜨게 할수 있을까수포자·영포자들 감긴 눈 뜨게 할수 있을까

    양선아 | 2019. 04. 26

    [뉴스AS] 정부 ‘기초학력 보장 강화’ 정책지난해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결과에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늘면서 기초학력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사진은 과거 일제고사 형태로 성취도 평가를 할 때 초등학생들이 시...

  • 키는 안 크고 몸무게는 늘고 식습관은 안 좋고…학생들 건강 ‘적신호’키는 안 크고 몸무게는 늘고 식습관은 안 좋고…학생들 건강 ‘적신호’

    양선아 | 2019. 03. 28

    국내 초·중·고등학생들의 키 성장세는 주춤한 반면 몸무게는 늘어 비만율이 높아지는 ‘적신호’가 켜졌다. 중·고등학생 다섯명 중 한명은 아침 식사를 거르는가 하면, 주 1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먹는다고 답한 고등학생이 무려 80.54%에 이르는 등...

  • 1월 출생아 4년 만에 1만명 줄어…범정부 인구정책 TF 구성1월 출생아 4년 만에 1만명 줄어…범정부 인구정책 TF 구성

    베이비트리 | 2019. 03. 27

    ‘1월 인구동향’ 1월 출생아수 3만3백명 기록2015년 4만1900명 뒤 해마다 역대 최저치인구 1천명당 출생아 6.9명으로 7명대 져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발표 예정에 이어관계부처·연구기관 ‘태스크포스’ 구성하기로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영유아 자기조절력은 부모 양육방식에 좌우영유아 자기조절력은 부모 양육방식에 좌우

    베이비트리 | 2019. 03. 25

    아이 아빠가 2~3살 아이들에게 자꾸 스마트폰을 보여줘요Q. 3살과 2살 연년생 남매를 둔 가정주부입니다. 남편과 양육관이 달라 고민입니다. 특히 스마트폰 문제로 다툴 때가 많습니다. 남편에게 아이들과 놀아주라고 하면 주로 스마트폰을 보여줍니...

  • 한유총 차기 이사장 선거, ‘이덕선의 후예’ 김동렬 단독 출마한유총 차기 이사장 선거, ‘이덕선의 후예’ 김동렬 단독 출마

    양선아 | 2019. 03. 20

    동반사퇴 제안했다가 철회하고 단독출마 ‘유아교육법 시행령 반대’ 등 강성 기조 개학연기 투쟁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한유총의 차기 이사장 선거에 ‘이덕선 현 이사장의 후예’로 꼽히는 김동렬 수석부이사장이 단독 출마하기로 했...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