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다 보면 가끔씩 남들한테 불쌍하다라는 말을 듣는다. 같은 일을 하는 남성 동료에게도 듣기도 하고, 내가 일하고 있는 여성 조합원들(주로 나이가 50대를 넘긴)에게도 종종 듣는다. 같은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는 50대말 여성 조합원은 내가 14역을 하고 있다고 자주 말한다. 노동조합 간부, 주부, 아빠, 남편 등.

 

집에서 주로 내 역할은 아침밥 하기, 아이들과 놀아주기, 아내보다 먼저 퇴근 하면 저녁밥 하기, 쓰레기 버리기, 그리고 아이들 재우기 등이다. 청소와 빨래는 주로 아내가 한다. 감히 말하지만 나와 아내는 가사와 돌봄노동을 누구 몫으로 전가하지 않고 공평하게 한다. ‘평등육아를 한다.

 

개인적인 시간은 별로 없다. 일 마치고 동료들과 함께 시원한 맥주나 소주 한잔 먹으러 가는 날은 한 달에 한 두 번 정도. 주로 올곧이 나만의 시간은 아이들 재우고 나서다. 그마저도 업무가 많으면 누리지 못한다. 아이들 재우고 졸린 눈을 비비며 일을 한다.

 

날개윤슬.jpg     

 

예전에 모 방송국 프로그램인 비정상회담에 초대손님으로 구글코리아 대표가 나온 적이 있다. 구글코리아 대표는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남자다. 당시 비정상회담 프로그램의 주제는 육아였다. 구글코리아 대표는 구글 직원들은 야근을 잘 하지 않는다고 했다. 본인도 구글 본사에서 일할 때 육아 때문에 칼퇴근을 했다고 말했다. 남자들도 회사 일이 있으면 아이들 재우고 한다고.

 

육아 기준으로만 본다면 나는 구글 직원들과 생활 패턴이 비슷하다. 나름 글로벌 스탠다드라고나 할까. 해고의 기준을 이야기할 때 사용자들은 미국의 극단적인 해고 유연성을 부러워하지만(미국은 사장이 어느 날 당신 해고야 하면 바로 해고다), 육아의 기준을 이야기할 때는 글로벌 스탠다드는 없어진다.

 

장시간 노동사회인 한국에서는 육아와 가사는 당연히 여성의 몫이다. 누군가 육아와 가사노동의 책임을 옴팡 뒤집어써야 장시간 노동사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여성들 스스로도 이걸 내면화하고 있다. 평등사회를 위해서 일한다는 많은 남성 또는 여성 사회운동가들도 비슷하다.

 

그래서 나는 불쌍하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 불쌍함이 어디서 시작됐을까? 아내가 연애하던 시절 결혼하면 나에게 뭐해줄거냐고 물었다. 난 호기롭게 아침밥을 차려주겠다고 말했다. 직업의 특성상 야근이 많아 저녁에 뭐 해줄 수는 없겠고, 그럼 아침에 일찍 일어나 밥을 해주면 되겠다고 생각한 것. 결혼 하고 나서 땅을 칠 정도는 아니지만 조금은 후회를 했다. 차려진 밥상을 내 발로 찬 것이었다. 아내가 밥상을 차린다는 것은 고대 이래 끈끈히 내려온 가부장적인 남성의 권리였는데 말이다.

 

그래서 나 스스로 불쌍하냐고 생각하냐고. 전혀 그렇지 않다. 육아와 가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남편은 부부관계도 좋고, .. 성관계 횟수도 그렇지 않은 부부보다 많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흐흐. 쉽게 말하면 아내에게 사랑 받고 산다는 것이다.

    

날개 은유.jpg

 

5살 작은 아들 은유는 크면 아빠랑 결혼하겠다고 말했다. 이 말을 들은 아내는 아빠랑 결혼하겠다는 아들은 찾아보기 힘들건데라고 말했다. 은유는 종종 아빠가 좋아. 아빠가 따뜻해라고 말한다. 평등육아 덕분에 아내와 아들의 사랑을 듬뿍 받으면 산다.

 

아들의 이런 이야기를 들은 우리 노조 여성 간부는 그거 문제 있는 것 아니냐아이는 엄마를 좋아해야하는뎨라고 말한다. 그 분은 보육교사 자격증도 있는 분이다. 그래서 나는 유아교육 내용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주 양육자를 엄마로 정해놓고 모든 걸 설명한 교과서 내용이 나는 오히려 잘못된 거다라고 답변했다.

 

최근에 도서관에서 이상한 정상가족을 빌려서 읽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읽어서 유명해진 책이다. 책 서문에 이런 내용이 있다.

 

   이상한 정상가족.jpg  

 

“‘정상가족이데올로기는 결혼제도 안에서 부모와 자녀로 이뤄진 핵가족을 이상적 가족의 형태로 간주하는 사회 및 문화적 구조와 사고 방식을 말한다. 바깥으로는 이를 벗어난 가족형태를 비정상이라고 간주하며 차별하고, 안으로는 가부장적 위계가 가족을 지배한다. 정상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가족이 억압과 차별의 공간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이전에 제주에서 육아모임에 참석한 적이 있다. 참석자 대부분이 엄마였는데, 그 중 한 엄마가 나한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아이들이 커서 어떻게 자랄지 궁금하다.

 

나는 바란다. ‘이상한 정상가족서문에 씌여진 것처럼 우리 아이들이 자율적인 개인이면서 공감하는 시민으로서 자라길 바란다. 그렇게 성장하는데 내가 제대로 역할을 한다면 부모로서 나는 행복하다라고 말할 수 있겠다. 혐오와 차별이 넘치는 이 사회에서 우리 아이들이 잘 크기를 바라고 바란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박진현
제주에서 8살, 4살 아들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육아휴직도 두 번 했습니다. 4년 전에 각박한 서울을 떠나 제주로 왔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삶을 살고자 벌인 일입니다. 우리 부부의 좌우명은 평등육아입니다. 사실 아내가 먼저 외치기 시작한 좌우명이지만, 저도 동의합니다. 진짜입니다.
이메일 : hyunbaro@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equal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800834/a06/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2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이런 시어머니 되면 안돼요!!! imagefile [4] 신순화 2018-09-20 11790
212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야.. 조금 천천히 커 줄래? imagefile [2] 신순화 2018-09-13 11328
2123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시대 흐름 역행하는 `출산주도성장' 발언 imagefile [4] 양선아 2018-09-11 10899
2122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8편]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책을 읽고~ imagefile [1] 지호엄마 2018-09-10 9992
2121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휴대폰 전쟁 imagefile [15] 강남구 2018-09-07 14981
212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달콤 달콤, 아들과의 데이트 imagefile [2] 신순화 2018-08-31 9872
2119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다시, 꽃들에게 희망을 imagefile [1] 정은주 2018-08-28 9820
211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여섯의 방학 imagefile [4] 신순화 2018-08-22 9272
211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당 미용실 imagefile [4] 신순화 2018-08-20 9872
2116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각.자.도.생' imagefile [2] 강남구 2018-08-19 11587
2115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방학 때 아이와 가볼 만한 ‘인터랙티브 전시’ imagefile [4] 양선아 2018-08-16 21990
»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나는 불쌍하지 않습니다 imagefile 박진현 2018-08-16 13394
2113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친밀한 관계 속 위력을 인정하기 imagefile 서이슬 2018-08-16 11300
211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싸워도 괜찮아 imagefile [1] 신순화 2018-08-13 9933
2111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거절의 품격 imagefile 정은주 2018-08-12 8258
2110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판 깔아주니, 아빠도 아이처럼 imagefile [2] 양선아 2018-07-31 10027
210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더위 앞에서는 사랑도.... imagefile [2] 신순화 2018-07-31 10991
2108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잘못된 몸'을 낳은 엄마의 '자격'에 관하여 imagefile [8] 서이슬 2018-07-29 33846
210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일상의 정의를 지키는 사람들 imagefile [2] 정은주 2018-07-28 8644
210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나의 결혼기념일 imagefile [2] 최형주 2018-07-26 8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