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개의 기사를 보고 마음아파했던 적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휴거'에 대한 얘기였어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만드는 아파트 브랜드 이름인 '휴먼시아'와 '거지'를 합성한 말이었습니다. 주변 아파트 시세에 비해 저렴한, 즉 상대적으로 가난한 사람들도 입주할 수 있는 아파트를 두고,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을 '거지'라고 표현한 것이죠. 이 '휴거'는 아이들 사이에도 왕따를 당한다고 합니다. "쟤랑 놀지 마", 라는 어른들의 교육이 있었겠죠. 그리고 내 아이가 그 아이와 놀지 말아야 할 이유는, 단지 그 집이 돈이 없어보인다는 이유 뿐인 것 같습니다.
두번째는 'LH'라는 아파트 브랜드를 지워달라는 요구가 쏟아지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LH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이 '휴거' 취급을 받으니, 그 브랜드를 지우는 것으로 이 상황을 돌파하려고 한 것이겠지요. 하지만 'LH'라는 이름을 지운다고 해서, '휴거'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 아파트 거지'라거나 '저 아파트 거지'라는 이름으로 또 다시 불리겠지요. 그리고 이 기사에 단 댓글 역시 마음아프기 짝이 없었습니다. "누가 거기 살래냐"라는, 날이 잔뜩 서린 말이었지요.
아이가 곧 태어납니다. 그 아이는 살면서 수많은 차별 앞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수입은 상대적인 것이고 '휴거'가 동네에 없다고 해도 주변 아파트보다 저렴한 아파트는 분명히 있을겁니다. 새로 태어날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저렴한 아파트에 사는 친구들을 차별할 수도 있고, 자신이 차별을 받을 수도 있을겁니다.
자본주의는 낙오자를 생산해냅니다. 그리고 매우 고통스러운 형벌을 가하지요. 낙오자는 아직 낙오자가 되지 못한 노동자들의 공포를 만들어냅니다. 낙오자가 되지 않기 위해 발버둥치며 매일 같이 야근에, 특근에, 자신과 가족들의 삶을 갈아넣게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그 낙오자가 사라지면, 사회는 다른 낙오자를 만들어낼 겁니다. 그것이 내가 될 수도 있고, 내 아이가 될 수도 있겠지요.
제가 아이에게 키워주고 싶은 가치는, 이 의미없는 싸움을 멈추라는 것입니다. 아주 작게는, 돈으로 인간을 분류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하고 싶다는 것, 조금 크게는 인간은 자신이 벌린 일을 넘어선 차별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것, 아주 크게는 경쟁이 아닌 협동이 인간을 보다 인간답게 만들고 더 큰 행복을 맞을 수 있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99명이 경쟁하고 있는데, 한 명이 하지 않는다고 무슨 의미가 있는가, 가끔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100명 중 1명만 그렇게 생각해도, 천만명 중에는 십만명이 되고, 오천만 중에는 오십만명이나 됩니다. 아니 이기적으로 생각해도, 평생 경쟁하며 전전긍긍하며 살아야 할 아이를 위해서도, 그게 더 낫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