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교육

생각은 말을, 말은 세계를 바꾼다

이안 2017. 11. 22
조회수 3877 추천수 0
동시사용설명서.jpg반성
함민복
 
늘 
강아지 만지고
손을 씻었다
 
내일부터는
손을 씻고
강아지를 만져야지
 
―〈날아라, 교실〉(사계절, 2015)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어느 초등학교 1학년 120여명을 두 시간 동안 만나는 자리였다. 쉬는 시간에 여자아이 한 명이 다가와 내 손을 꼭 잡으며 말했다. “선생님 이야기 들으며 좋았어요.” 1학년에게 이런 칭찬을 다 듣다니, 기분이 좋아 슝 날아갈 것 같았다. 아이에게 조금 더 사랑스러운 눈빛을 보내며 “정말?” 하고 되물었다. “네, 선생님 이야기 들으면서 졸았어요.” ‘좋’았어요가 아니라 ‘졸’았어요였던 것!

그런데 왠지 통쾌했다. 이 아이는 지금 말하고 있는 것이다. 선생님 이야기를 잘 들으려고 했는데 졸아서 미안하다고. 미안(未安)은 남에게 대하여 마음이 편치 못하고 부끄럽다는 뜻이다. 편치 못함, 미안이 없으면 윤리 감각이 생겨날 수 없다. 불편한 것이 편한 것보다 윤리적인 건 그 때문이다.

강아지 만지고 손을 씻는데 문득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이 마음은 어디서 온 마음일까. 강아지를 이뻐하는 내 마음도 같이 씻어내는 것 같아서. 그 마음이 거짓인 것만 같아서. 늘 해오던 일이었는데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걸 아는 때가 있다. 문득 깨달은 것을 반성적 사유로, 실천으로 밀고 나갈 때 그것은 진심을 증명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생각은 말을 바꾸고, 말은 세계를 바꾼다. 사는 대로 생각하다가 생각하는 대로 살자고 결심한 순간, 우리는 “늘”의 일상에서 “내일”의 세계로 넘어갈 수 있다. 

투명 유리 어항에 금붕어 두 마리를 기른 적 있다. 어느 날 금붕어들이 불편해 보이는 거다. 사생활이 숨김없이 노출되니 얼마나 마음이 안 좋을까. 바깥에 나가 돌멩이 두 개를 주워 와 깨끗이 씻은 다음 어항에 기대어 놓아 주었다. 그러기 무섭게 금붕어 두 마리가 그 사이로 쏙 숨어 들어갔다. 말 못하는 마음이 애타게 숨을 곳을 찾고 있었던 것이다.

“돌멩이 하나만 넣어 주면 안 될까요?// 나도/ 혼자 있고 싶을 때가 있어요// 돌멩이 뒤에 숨어,// 아무에게도 나를/ 보여 주고 싶지 않을 때가 있어요”(이안, ‘금붕어’) ‘혼자 있고 싶은 날’, ‘아무에게도 나를 보여주고 싶지 않은 날’, ‘아무런 말도 듣고 싶지 않은 날’은 언제였는지, 어떤 날인지 이야기를 나누어 보자. 그런 날은 식구들이 어떻게 해주면 좋은지 이야기해 보자. 팻말을 만들어도 좋다. 꼭꼭 숨고 싶은 날, 각자 자기 방문 앞에 걸어둘 수 있게.  
 
2연에서 두 번 사용된 목적격 조사(을/를)는 특별하다. 2행(“손을”)에서는 강조로, 3행(“강아지를”)에서는 강아지를 받들어 감싸주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1연 “강아지” 다음엔 “를”이 없다. 그 전까진 내가 ‘갑’이고 강아지가 ‘을’이었던 것이다. 조사 하나 있고 없음의 차이가 이렇듯 크다. 이 시가 아름다운 건, 이렇게 말하는 시인의 존재 때문이다. 강아지를 대하는 마음이 이러한데 다른 것을 대하는 마음은 또 얼마나 극진할까 싶어서다. 당신에게 더 좋은 것을 줄 때 나도 아름다워진다. “동생 코 풀어 주고/ 얼굴 씻어 줬는데// 이상하다// 내 손이 보들보들 깨끗해졌네”(박성우, ‘손’) 하고 자기 손을 보며 놀라워하던 마음은 시간이 가도 지워지지 않고 선을 실천하는 굳은 바탕이 된다.  
창가의 화분
권영상
 
창가에 놓인
화분에 
꽃이 피었다.
 
내가 보기 좋도록
안쪽으로 
돌려놓았다.
 
그러다가
다시 되돌려 놓았다.
꽃이 좋도록.
 
―〈구방아, 목욕 가자〉(사계절 2009)


미안해서
경종호
 
나비 한 마리 방 안으로 들어왔다.
 
꽃 한 송이 없는 방, 거울이
 
얼른 창밖 백일홍을 비춰 준다.
 
―〈천재 시인의 한글 연구〉(문학동네 2017)


바깥쪽을 향해 핀 꽃을 “내가 보기 좋도록” 안쪽으로 돌려놓는 마음은 내가 중심이 되기에 불편하다. 편치 못한, 미안함의 감수성이 나를 자기중심에서 벗어나게 만든다. 나에게 좋은 일이 꽃에게는 힘겨운 노동을 부과하는 일이라는 것을 문득 깨닫고 화분을 다시 “꽃이 좋도록” 되돌려 놓는 마음은, 강아지 만지기 전에 손을 씻는 행위만큼 윤리적이다. 너무나 작은 일 같지만, 이 작음이야말로 얼마나 위대한 작음인가. “꽃 한 송이 없는 방”으로 들어온 나비에게 미안해서 “얼른 창밖 백일홍을 비춰” 주는 거울은 말 그대로 미안의 귀감이다.

함민복 시인의 첫 동시집 〈바닷물 에고, 짜다〉(비룡소 2009) 맨 뒤에 실린 ‘이 시를 읽는 어린이들에게’의 첫 문장은 “미안합니다.”이다. 이 글 끝에 붙은 ‘추신’ 첫 문장 또한 “물고기들아, 미안하다.”로 되어 있다. 일상의 사소함에 연결된 편치 못한, 미안의 감수성이 반성적 사유와 실천을 가능케 하는 힘이다. 그러니 작은 것이 작은 것이 아니다. 먼지 한 알 속에 우주가 들어있다는 말은 도사연하는 수사가 아니라 일상에 실재하는 사건이다. “달리는 버스에서 쓴” 삐뚤빼뚤한 글씨는 어느 누군가의 글씨체이면서 “움직이는 지구에서 쓴/ 모든 글씨” 중 하나이기에 “지구 글씨체”가 된다. 

 글씨체
함민복
 
달리는 버스에서 쓴
글씨가 삐뚤빼뚤
 
낯선 이 글씨는
누구의 글씨체일까
 
버스체다
굽은 길체다
 
움직이는 지구에서 쓴
모든 글씨는 지구 글씨체다
 
―〈동시마중〉(2017년 1·2월호)


 이안/시인, 〈동시마중〉 편집위원 aninun@hanmail.net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이안
시집 두 권 내고 나서 동시의 매력에 조금씩 빠져들었다. 20년 가까이 동시를 껴안고 사는 동안, 시 앞에 붙은 '동'이 사랑이란 걸 알게 되었다. 언제나 어린이=시인의 상태로 세상을 바라보고, 살며, 쓰고자 한다. 격월간 동시 전문지 <동시마중>(http://cafe.daum.net/iansi)을 만드는 편집자, 동시 전문 팟캐스트_이안의 동시 이야기(http://www.podbbang.com/ch/8204)를 진행하고, 찾는 곳 어디든 동시의 씨앗을 뿌리고 다니는 동시 전달자. 그리고 무엇보다 동시의 시대를 활짝 꽃피우고 싶은 사람이다. 1999년 등단하여 시집 <목마른 우물의 날들> <치워라, 꽃!>, 동시집 <고양이와 통한 날> <고양이의 탄생> <글자동물원>, 동시 평론집 <다 같이 돌자 동시 한 바퀴>를 냈다.
이메일 : aninun@hanmail.net      

최신글




  • 약속도 사랑도 걸게 하는 새끼손가락약속도 사랑도 걸게 하는 새끼손가락

    이안 | 2018. 10. 10

    새끼손가락김륭걔가 약속, 하고 새끼손가락을 내민다 나도 약속, 하고 새끼손가락을 내민다 마침내 찾았다서로의 말을 걸어둘곳! 어릴 땐 코만 파던 새끼손가락에약속을 걸고 사랑을 걸었다 ―〈첫사랑은 선생님도 일 학년〉(창비 2...

  • 때맞춰 알맞춤한 사랑때맞춰 알맞춤한 사랑

    이안 | 2018. 09. 05

    너를 잘 키우는 법김경진  윌마물을 주려면 듬뿍 주어야 해그리고 물이 잘 빠져나가나 지켜보아야지머물러 있으면 안 돼 베라히긴스 물은 정말 가끔 주어야 해물이 없어도 똑똑 떨어져 뿌리를 잘 내리지걱정하지 않아도 돼&nb...

  • 특별한 날 특별 음식, 맛이 춤춘다특별한 날 특별 음식, 맛이 춤춘다

    이안 | 2018. 08. 08

    짜장 요일방주현 오늘 급식은 짜장면이다! 호로록, 한 입 먹으면콧잔등에맛있는 짜장 점 일곱 개 호로록 호로록, 두 입 먹으면입가에맛있는 짜장 수염 두 가닥 마주앉은 친구가웃는 소리도짜장짜장 하는 날―〈동시마중〉(2017년 5...

  • 보나 마나 그렇다는 그대로, 보니 그랬다보나 마나 그렇다는 그대로, 보니 그랬다

    이안 | 2018. 07. 04

    감자꽃권태응자주 꽃 핀 건 자주 감자,파 보나 마나 자주 감자.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파 보나 마나 하얀 감자.―〈감자꽃〉(창비 1995)정말일까? 자주 감자를 심으면 자주 꽃이 피고, 자주 꽃 핀 밑을 파면 자주 감자가 나올까. 당장이라도 ...

  • 손바닥에 쓰인 시, 간질간질 동시 놀이손바닥에 쓰인 시, 간질간질 동시 놀이

    이안 | 2018. 06. 08

    금붕어유강희 단풍잎 한 마리단풍잎 두 마리어, 가을이 움직인다 ―〈손바닥 동시〉(창비 2018)놀이에는 규칙이 있다. 규칙을 익히고 공유한 상태에서 놀이는 시작된다. 어떤 놀이는 규칙의 공유만으로 성립되기도 한다. 숨바꼭질, 얼음땡, 경...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