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나라에 가기 싫어

 

우리 집에서는 내가 아이들을 재운다 . 둘째 은유를 돌보기 위해 두 번째 육아휴직할 때부터였다. 아내가 어느 날 자기가 아이들 재우면 안돼?라고 물었다. 당시는 내가 육아휴직 할 때라 호기롭게 그러자라고 말했다. 늘 언제나 그 호기로움이 문제.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는 말이 있듯이, 육아에서 때론 한번 맡은 역할은 영원한 내 역할이 될 때가 많다.

 

사람과사람들재우기.jpg

작년 2월 "아빠의 육아휴직"이라는 제목으로 kbs '사람과 사람들'이라는 다큐를 찍었다. 

아내가 세 남자에게 잘 자라고 인사하고 나가는 장면.   

 

 

우리 집에서는 아빠가 아이를 재운다는 말을 들으면, 많은 엄마들이 아이들이 엄마 없이도 잘자냐고 묻는다. 우리 부부의 대답은 늘 똑같다. “잘 자요

 

아이들 재울 때 모든 엄마, 아빠의 바람은 하나다. “빨리 잠들어라솔직히 그렇지 않은가. 아이들이 잠 들고 나면 그때부터 하루 중 짧지만 오롯이 나만의 시간, 아니면 부부의 시간이 된다. 아기는 잘 때가 제일 예쁘다는 소리는 그냥 생긴 게 아니다. 때론 그 바람 때문에 아이들이 빨리 자지 않으면 아이들에게는 미안하지만 버럭 성질을 내기도 한다.

 

첫째 윤슬이는 낮잠도 자지 않으니 재우면 대부분 일찍 잠든다. 문제는 둘째다. 낮잠도 충분히 자다보니 늘 밤에 잠자리에 누워서는 이리뒹굴 저리뒹굴거리고 조잘조잘 말도 많이 한다. 일찍 잠들고 싶어하는 윤슬이는 가끔씩 동생에게 시끄러워, 너 때문에 잠을 못자겠잖아라고 화를 내기도 한다.

 

어제도 마찬가지. 은유가 이리뒹굴, 저리뒹굴거렸다. 눕기 전에 엄마가 쉬야하자할 때는 싫어하더니, 불을 끄고 10분이 지나자 쉬야하고 싶어라고 말해 화장실도 한 번 가면서 아빠와 형의 심기를 건드리기 시작했다. 속에서 치밀어 오르는 화를 삭히면서 은유에게 우리 꿈나라에 가서 만나자라고 말했다.

 

그러자 은유가 훌쩍 훌쩍 울기 시작했다. 뭐라 중얼중얼거리면서. 갑작스런 은유의 울음에 나는 당황했다. 뭐라 계속 중얼중얼거리는데, 뭔 말인지 알아들을 수 없어서 은유에게 왜 우는 거야?라고 안아주면서 물었다.

 

그러자 은유가 꿈나라에 가기 싫어. 집에 있고 싶어라고 말했다. 반쯤 꿈나라에 간 윤슬이도 그 말을 들었다. 우리 둘은 생각지도 못한 은유의 말에 둘이 서로 안고 키득키득 웃기 시작했다. 처음에 조용히 키득거리다 둘이 너무 웃겨서 은유가 했던 말을 반복하면서 크게 웃었다.

 

우리가 웃는 걸 들은 은유는 큰 소리로 웃기지마라고 외쳤다. 은유는 웃지마웃기지마라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우리는 또 지가 웃겨놓고는 우리보고 웃기지마라고 한다며 더 크게 웃었다. 은유는 아까보다 더 큰 소리로 웃기지마라고 외친다.

 

한참을 웃고 나서 윤슬이가 꿈나라에 가면 하고 싶은 거 마음대로 하고, 놀이 기구도 돈 안내고 탈 수 있고, 얼마나 좋은데라고 말했다. 은유는 여전히 꿈나라에 가기 싫어. 집에 있고 싶어라고 말한다. 이제는 은유를 좀 달래고 아이들을 재워야겠다 싶어서, 은유에게 그래 은유야 꿈나라에 가기 싫으면  집에 있자. 아빠랑, 엄마랑, 형아랑 집에 있자라고 말했다. 그 말을 듣고 은유는 하면서 좀 안심이 되지는 훌쩍 거리는 것을 멈췄다.

 

윤슬이가 먼저 꿈나라로 가고 10분이 지나자 은유도 잠들었다. 살며시 일어나서 밖으로 나갔다. 아내랑 맥주 한잔 하면서 썰전을 봤다. 그래도 1년 전보다는 아이들 잠 재우기가 훨씬 쉬워졌다.

 

1년 전에 은유는 아빠 머리를 쓰다듬으면서 잠이 들었다. 일찍 잠들면 괞찬지만 늦게 잠드는 날은 고문이 따로 없었다. 윤슬이는 늘 팔베게를 해달라고 했다. 머리 내주고, 팔 내주고 자다보면 이 놈들 언제 크나라는 생각이 절로 난다. 세 남자가 한 베개에, 한 이불을 덮고 자는 일도 부지기수였다. 한 번은 자다가 가위 눌리는 꿈을 꾸다 깬 적도 있다.

 

지금은 둘째가 아빠 머리를 쓰다듬으면서 자는 버릇도 없어졌고, 윤슬이도 팔베개를 해달라고는 하지 않는다. 그렇게 아이들이 조금씩 조금씩 크는 것 같다. 오늘은 금요일이니까 엄마, 아빠 나름 불금을 즐기게 아이들아 빨리 잠들어주렴.

sbs윤슬이.jpg

 

* 참 은유가 그저께부터 기저귀를 차지 않고 잠을 자기 시작했다. 이틀 연속 밤 중에 쉬야를 하지 않았다. 아직까지는 성공. 아침에 칭찬을 해주면 본인도 흡족한 모양이다. 물론 앞으로 실수를 할 때도 있겠지만, 그래도 또 하나의 미션을 성공했다.

* 아 이런 일도 있었다. 윤슬이가 sbs 저녁 뉴스 클로징멘트에 나왔다. 학교에서 놀림을 받아도 소아암 환자에게 기증하기 위해 머리를 기른다는 글을 sbs 뉴스 작가가 읽고 연락이 왔다. ㅎㅎ 이렇게 추억 하나 또 생겼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진현
제주에서 8살, 4살 아들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육아휴직도 두 번 했습니다. 4년 전에 각박한 서울을 떠나 제주로 왔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삶을 살고자 벌인 일입니다. 우리 부부의 좌우명은 평등육아입니다. 사실 아내가 먼저 외치기 시작한 좌우명이지만, 저도 동의합니다. 진짜입니다.
이메일 : hyunbaro@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equal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34157/68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25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미친 말과 똥 거미 imagefile [3] 정은주 2017-08-28 8192
192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딸과 마음도 함께 따릉따릉 imagefile [2] 양선아 2017-08-24 12091
192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육아의 `달인'의 비법 imagefile [2] 홍창욱 2017-08-23 9627
192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생리 이야기 해 보자! imagefile [4] 신순화 2017-08-22 16271
1921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상처를 드러내는 법 image [3] 정은주 2017-08-21 8535
1920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위풍당당 임최하늘 imagefile [1] 최형주 2017-08-21 8945
191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굳이 이렇게 한다 imagefile [7] 신순화 2017-08-18 12021
1918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제주 아빠의 평등육아 일기] 닭이 행복해야 우리도 행복하다. imagefile [7] 박진현 2017-08-18 10632
191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험한 세월 살아가는 힘은 공부 imagefile [4] 신순화 2017-08-15 12482
191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엄마의 품, 우주의 품 imagefile [1] 최형주 2017-08-14 9310
1915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부질없는 약속, 그래서 좋다 imagefile [3] 윤은숙 2017-08-13 9951
191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지고 볶아도 어차피.. imagefile 신순화 2017-08-10 15302
1913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한 아이 imagefile [3] 서이슬 2017-08-10 8907
1912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다엘의 여름방학, 미래를 꿈 꾸다 imagefile [1] 정은주 2017-08-07 8277
191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에겐 책이 먼저일까, 경험이 먼저일까 imagefile [2] 윤영희 2017-08-07 11120
1910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아쉬움을 달래려고 숨을 나누어 쉰다 imagefile [2] 최형주 2017-08-02 9189
190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82년생 김지영과 70년생 신순화 imagefile [4] 신순화 2017-08-01 11435
1908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하지 않을 자유, 낳지 않을 자유 imagefile [4] 서이슬 2017-07-31 10565
190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뿌리 찾기, 옛터 찾기 image 정은주 2017-07-31 6685
»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빠의 평등육아 일기] 꿈나라에 가기 싫어! imagefile [5] 박진현 2017-07-28 8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