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08285-1.JPG



“바다야, 이 그림의 이름은 ‘지아 달’이야.

엄마가 엄마를 그린 거야.“

 

“예쁘다, 엄마 달.”

 

바다가 이 그림을 '엄마 달’이라고 불렀을 때

내 가슴은 기쁨으로 울렁거렸다.

 

며칠 전에 1년 동안의 표현예술치료 공부를 마무리하며

각자가 그린 자화상을 걸고 공연을 했는데

이 그림이 바로 그 때 나온 자화상이다.

 

나는 나의 자화상인 ‘지아 달’ 에

나의 신성과

나의 눈물과 웃음과

나의 긴장과 이완과

나의 떨림과 부드러움과

나의 어두움과 빛을 담았다.

 

그리고 내가 의도하지 않았지만 그림을 그리는 도중에

비참함과 텅 빔과 무너짐을 담게 되었고

 

공연을 한 후에는

나를 일으키는 섬세하고 단단한 힘과 감싸는 사랑이 담기게 되었다.


비참함과 텅 빔과 무너짐은

그림을 그리다가 쓰러진 일에서 만나게 된 나의 감정인데

최근에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을 받고

아픈 관절과 힘이 없는 몸을 움직여 겨우 그림을 그리다가

순간 정신을 잃고 바닥에 놓인 그림 위에 얼굴을 부딪치며 쓰러진 것이 그 일이다.

 

정신을 차리고 눈을 떴을 때

옆에서 나를 본 친구가 있다는 것이 너무 싫었고

나의 그런 비참한 모습이 나 스스로도 당황스러웠다.

이렇게 텅 비고 힘이 없는 내 몸에게

아직 더 할 수 있고 해야 한다고 몰아 부쳐왔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공연의 중심에 그 감정을 담았다.

무너짐의 시작인 출산 장면을 표현했고

출산 후에도 쉬지 않고 수유하고 청소하고 바쁘게 일 하는 나를 표현했다.

더 많은 것을 더 잘 하기 위해서 바쁘게 뛰던 나는 결국 무너지듯이 쓰러졌고

어렸을 때 내 이름을 행복하게 부르던 부모님의 목소리를

다시 회상하듯 들으며 정신을 차리고

두 분의 보이지 않는 손을 잡고 쓰러졌던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리고 뒤를 돌아 신성의 그림을 발견하고 신성과 함께 춤을 추었다.

 

공연을 하고 나서

나의 비참함과 텅 빔과 무너짐에 대한 인정과 위로 위에

아주 큰 사랑과 우주의 보살핌이 소복하게 쌓였다.

 

그래서 지금도 두 아이를 돌보는 것이 힘들고 때로는 너무나 버겁지만

나를 몰아세우거나 나의 힘든 상태를 비참하게 느끼지 않는다.

힘들면 쉬고 나에게 필요한 걸 해주려고 애쓴다.

고민이나 힘든 일이나 행복한 일이 있을 때 지아 달과 대화하고

밤새 꾼 꿈에 대해서도 지아 달과 대화한다.

 

지아 달은 내 안에 있는 신이고

그 신은 지혜와 순수와 유머러스함을 모두 가지고 있는 나의 친구이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이런 공부를 하고

이런 자화상을 그리고 공연을 한 것이 얼마나 큰 선물인지 모른다.

이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면 내가 이렇게 힘든지 몰랐을 것이고

공연을 하지 않았다면 내가 그렇게 사랑받는 존재인지 몰랐을 것이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서서히 잃어버리고 있는

나의 가장 신성하고 빛나는 존재의 부분을 꺼내어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그림으로 만들고

그 그림을 매일 보고 만지며 확실히 느낄 수 있게 되어서 

정말 다행이고 기쁘다.

 

바다와 하늘이도 이 달과 친하게 지내면 좋겠다.

엄마의 신성을 느끼고 행복했으면 좋겠다.

 

가장 힘든 시기에 만난 가장 빛나는 나의 신성, 지아 달아,

고마워!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최형주
이십 대를 아낌없이 방황하고 여행하며 보냈다. 서른 살이 되던 해에 시골 대안학교로 내려가 영어교사를 하다가 남편을 만나 결혼했고 지금은 두 딸 바다, 하늘이와 함께 네 식구가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에 살고 있다. 부모님이 주신 '최형주'라는 이름을 쓰다가 '아름다운 땅'이라는 뜻의 '지아'에 부모님 성을 함께 붙인 '김최지아'로 이름을 바꾸었다. 베이비트리 생생육아에 모유수유를 하며 겪은 에피소드를 그림과 글로 표현한 ‘최형주의 젖 이야기'를 연재 완료하였다.
이메일 : vision323@hanmail.net      
블로그 : https://blog.naver.com/jamjam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25293/ee3/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85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나는 죽음에 적극 반대한다 imagefile [3] 정은주 2017-06-20 8278
188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돈 보다 더 귀한 것 imagefile [11] 신순화 2017-06-20 16799
188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스토리가 있는 육아 imagefile [3] 윤영희 2017-06-19 10378
188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청와대에서 온 손님 imagefile [4] 홍창욱 2017-06-18 9644
188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앵두 한 알의 세상 imagefile [12] 신순화 2017-06-15 14452
1880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육아도 재해가 있다 imagefile [6] 박진현 2017-06-15 8381
187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텃밭-논.. 꼬리에 꼬리를 무는 육아 imagefile [8] 윤영희 2017-06-13 10486
187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소리.. 그 소리 imagefile [2] 신순화 2017-06-08 11176
187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그래, 아내에게도 친구가 필요해 imagefile [1] 홍창욱 2017-06-06 9428
1876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중학생 엄마들이 들려준 이야기 (1) imagefile [3] 강남구 2017-06-05 11976
1875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너의 용기, 나의 두려움 imagefile [1] 정은주 2017-06-05 8985
187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그 강가에 다시 서다 imagefile [2] 신순화 2017-06-01 12819
»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엄마 달 imagefile [2] 최형주 2017-05-31 9568
1872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대안교육, 고민과 만족 사이 imagefile [3] 정은주 2017-05-29 9546
187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어린이식당, 그 1년 동안의 이야기 imagefile [4] 윤영희 2017-05-29 13136
1870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육아 휴직 대차대조표 imagefile [2] 박수진 2017-05-24 8975
186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를 키운 건 8할이 수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5-24 11479
1868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괜찮으냐고 묻지 마세요 imagefile [4] 정은주 2017-05-22 12688
1867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내가 스페인 여행을 갔다 imagefile [4] hyunbaro 2017-05-19 9197
1866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깨어나라, 육아 동지들’ imagefile [1] 이승준 2017-05-18 8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