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 수은으로 부터 안전한가
식생활에 생선을 추가하는 것은 단백질뿐만 아니라 오메가 3 지방산 섭취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몇몇 연구에서는 오메가 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 오일 보조제의 섭취가 임신기간을 길게 하고 출생체중을 늘리는 것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메가 3 지방산은 뇌조직의 성분이기 때문에, 엄마의 식생활에서 섭취수준을 높이면 아기의 두뇌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가정되어 왔다. 그러나 생선 섭취에는 심각한 부정적인 면 또한 존재한다. 오염으로 인하여 몇몇 생선들은 태아의 신경계 발달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수은을 함유하고 있다. 크거나 오래 산 생선들은 몸속의 수은 축적량이 많아서 특히 위험하다. 다행히도, 참치나 연어처럼 사람들이 많이 섭취하는 생선들의 대부분은 수은 함량이 낮아서 임신기간 중에 섭취해도 안전하다. 그러나 이렇게 안전한 생선들도 적절한 양만큼만 섭취해야만 한다. 보다 더 안전성을 기하기 위해서 FDA에서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주의사항을 권장하고 있다.
∙ 상어, 황새치, 삼치, 옥돔 섭취를 피하라.
∙ 일주일에 두 번 혹은 세 번 이상 생선을 섭취하지 마라. (전체 340g이상을 섭취하지 마라).
∙ 새우, 라이트 참치 캔, 연어, 대구 그리고 메기류 처럼 수은 함량이 낮은 생선을 선택하라. 신선한 다랑어류는 일주일에 170g 까지만 섭취하라(캔 포함). 이는 라이트 참치 캔보다 수은함량이 더 높다.
∙ 만약 낚시한 후 그 생선을 먹고자 한다면, 미 환경보호청(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제시하고 있는 권고를 살펴보아야 한다(http://epa.gov/waterscience/fish/state.htm). 만약 특이한 모양의 생선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약 170g정도만 섭취하고, 그 주에 다른 생선은 섭취하지 마라.
FDA는 그 지침이 엄격하지 않다는 이유로 몇몇 소비자 단체에 의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 국내 설문조사에 의하면 가임기 여성의 8%가 혈액 내 수은수준이 EPA의 안전기준 이상이었고, 이는 수은의 독성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상당수인 아기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침guideline은 생선의 수은 농도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됨에 따라 앞으로 개정될 수 있으며, 이는 온라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cfsan.fda.gov/~dms/admehg3.html)
임산부들은 그들의 식단에서 생선을 없애버리면 안 된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것은 아기의 발달에 중요한 주요 영양 공급원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생선섭취가 일주일의 권장수준을 초과하였다고 하더라도 걱정할 것은 없다. 단순히 다음 주에 생선섭취를 줄이면 되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수주 또는 수개월을 걸쳐 평균 수준을 유지하느냐는 것이다 . 전혀 오염되지 않은 완벽한 세상에서 매일매일 생선을 섭취하는 것이 오메가 3 지방산 함량을 증대시키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어렵기 때문에 절충안으로, DHA 또는 생선유 첨가물 혹은 DHA가 풍부한 달걀 등으로 식생활을 보충하면서 일주일에 수은함량이 낮은 생선을 두 번 정도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