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수유에 친근한 소아청소년과 의사를 찾으려면?
1. 선생님과 이 병원 간호사들은 모유수유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엄마는 당연히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간호사들이 모두 모유수유에 대해 잘 알고 있고 또 적극적으로 지지하기를 바랄 것입니다. 의사와 간호사들이 보수교육이나 기타 다른 기회를 통해 모유수유에 대해 정식으로 훈련과 교육을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더욱 좋겠지요.
2. 이 병원에 다니는 환자 중 대략 몇 퍼센트가 모유수유를 하고 있나요? 그 중 완전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퍼센트는 어느 정도인가요?
내 아기가 다닐 병원에 오는 아기들의 모유수유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겠지만 적어도 국내 평균 모유수유율(1개월 86%, 6개월 61%, 12개월 50%: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정도가 되면 안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그 병원의 모유수유율을 모르거나, 모유수유율이 낮다 해도, 너무 실망하지는 마십시오. 다만 젖을 먹이려는 내 의지를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이해하는지, 최선을 다해 나를 도와 주고, 필요하면 여러 가지 자료를 찾아 볼 듯한지를 알아 보십시오.
3. 첫 6개월 동안 완전모유수유를 권장하시나요? 이유 보충식은 언제 시작하라고 하시는지요?
세계보건기구는 생후 첫 6개월 동안 아기에게 젖만 먹이는 완전모유수유를 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즉 건강한 아기라면 이 시기까지는 엄마 젖 만으로도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내 아기의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6개월 경부터 이유 보충식을 시작하라고 권하는지 알아 보세요.
4. 젖을 끊으라고 하시는 시기는 언제쯤인지요?
젖을 끊는 시기는 아기와 엄마가 모두 더 이상 모유수유를 원하지 않고 흥미를 느끼지 않을 때입니다. 세계보건기구는 6개월부터 월령에 적합한 이유 보충식을 적절히 먹이면서, 적어도 2년 이상은 젖을 먹이고, 그 이후에도 아기와 엄마가 서로 원하는 한 계속해서 젖을 먹일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5. 모유수유에 문제가 있을 때 도움 받을 수유상담가가 병원 안에 있는지요? 없다면, 다른 수유상담가에게 의뢰해 주실 수 있나요?
소아청소년과 내에 수유상담가가 상주해 있다면 가장 바람직할 것입니다. 하지만 현행 국내 의료보험 체계에서 이런 상황을 기대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모유수유에 문제가 생기면 필요한 경우, 다른 곳의 수유상담가를 통해서라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지는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 모유수유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진료실에서 젖먹이는 것을 직접 보시는지요?
아기를 낳은 후 3-5일이 지나기 전에 편안한 수유 자세로, 아기가 젖을 잘 물고 잘 먹고 있는지 모유수유에 대해 잘 아는 소아청소년과 의사, 간호사, 혹은 수유상담가의 평가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다면 그 이후에도 아기가 잘 먹고 건강하게 잘 자랄 때까지 계속해서 자주 확인을 해야 합니다. 드물지만 심한 황달이나 탈수나 수유를 어렵게 하는 기타 다른 질환이 발견되면 큰 병원으로 의뢰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때문에 젖먹이는 모습을 직접 보고 평가하는 것이 모유수유 문제 예방과 해결에 아주 중요합니다.
7. 복직 후 계속해서 젖을 먹이고 싶은 엄마들에게도 도움을 주시는지요? 어떻게 하면 젖을 계속 먹일 수 있나요?
담당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복직 후에도 모유수유를 계속하려는 엄마의 바램을 이해하고 지지해 줄 수 있는지 알아 보세요. 유축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짠 젖을 보관하고 먹이는 방법도 알려 주시겠지요. 직장 상사가 모유수유에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다면 모유수유의 의학적 혹은 경제적 장점이나 직장에서 필요한 여건(착유실, 유축기, 휴식 시간, 냉장고, 세면대 등)을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도 알아 보는 것이 좋겠지요. 복직이 임박해서 직장 내 모유수유에 관한 출력된 안내문과 함께 주치의로서 간단한 편지를 써 주실 수 있는지 여쭤 보세요.
8. 모유수유 중 수유모가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갖고 계시는지요?
수유모들이 자신의 질병을 치료하는 도중 잘못된 인식으로 젖을 먹이지 않고, 불필요하게 짜서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모유수유 중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의 안전성에 대해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이 확인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자료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일례로 인터넷 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미국 국립의료도서관 자료인 LactMed, http://toxnet.nlm.nih.gov/cgi-bin/sis/htmlgen?LACT 역시 아주 유용한 자료입니다.
출산 직후에 모유수유에 대한 도움과 지원을 구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사람은 아기의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 어떤 경우는 엄마의 의견을 상세히 들어 보지 못하고 수유방법에 대해 결정을 내려야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미리 적합한 의사를 선택해서 모유수유에 대한 본인의 계획을 이야기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2010. 8. 20.
소아청소년과전문의, FABM 정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