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외선 차단제 ‘많이 자주’ 발라줘야

베이비트리 2013. 07. 03
조회수 6146 추천수 0
00429353001_20130703.JPG
자외선 차단제와 선글라스는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고 써야 한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건강] 따가운 여름, 피부 보호법

노출의 계절 여름에는 강렬한 자외선으로 피부가 수난을 겪기 쉽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외선 차단제를 충분히 바르지 않는다고 한다. 자외선 차단제에 나오는 수치 해석 요령과 사용법을 알아본다.

피부 노출이 많고 햇빛이 강한 여름은 그 어느 계절보다 자외선에 의한 피해가 많다. 특히 외부 활동이 많은 아이들의 자외선 차단은 중요하다. 자외선 차단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자외선 차단제인데, 사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해 이를 바르고도 자외선 화상을 입기도 해 올바른 사용법을 익혀야 한다. 최근에는 눈도 자외선 피해를 입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선글라스 등을 활용해 이를 막아야 한다.

자외선을 많이 쬐면 피부암에 걸리거나 피부노화가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진다. 문제는 어릴 때 받는 자외선의 양이 많고 이 영향이 평생 갈 수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18살 이전에 평생 받는 자외선 양의 3분의 1가량을 쬐게 된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 어릴 때부터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습관을 길러 놓아야 평생 갈 수 있다. 올바른 사용법은 우선 자외선 차단제를 충분히 바르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통 자외선 차단제 권장량의 30~50% 정도만 바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가능한 한 많은 양을 바르고 땀이나 수영을 하면서 물 때문에 씻겨 나가는 것을 고려하면 자주 덧발라줘야 한다. 또 자외선은 출근 혹은 잠시 외출할 때와 같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받는 양도 상당히 많다. 햇빛이 강한 계절에는 외출할 때에도 꼭 발라야 한다. 아울러 구름이 끼거나 심지어 비가 오는 날에도 적은 양이기는 하지만 자외선은 우리 피부에 도달하고 있다. 여성용 화장품에는 보통 자외선 차단제가 들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별도로 자외선 차단제를 쓰는 것이 좋다. 참고로 피부노화의 80~90%는 햇빛, 특히 자외선 노출만 막으면 예방 가능하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20130703_1.jpg
자외선 차단제와 선글라스는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고 써야 한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선글라스 색 농도는
75~80%가량이 좋아
색깔은 회색이 가장 무난
피로감 주는 원색은 피해야

자외선은 크게 에이(A), 비(B), 시(C)로 구분되며, C의 경우 오존층에서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지표면에 도달하는 것은 A와 B다. 특히 B는 화상을 일으킬 수 있는 강도가 A에 견줘 1000배나 될 정도로 강하다. 하지만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량은 A가 B보다 100배나 많으므로 A와 B 모두 차단해야 한다. 자외선 차단제에는 A와 B를 차단하는 지수가 표시돼 있는데 이 숫자나 표시를 잘 이해해야 한다. 우선 B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고 자외선 피해를 볼 시간 대비 차단제를 바른 뒤 자외선의 피해를 볼 수 있는 시간의 비율을 뜻한다. 자외선 차단제를 쓰지 않고 자외선에 노출돼 피부 홍반이 생기기까지 30분이 걸렸고 차단제 사용 뒤에는 5시간이 걸렸다면, 이 차단제의 효과는 10배로 차단 지수 역시 10이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통 30분 정도 햇빛을 쬐면 피부 홍반이 생기는데, 이론적으로 10시간 정도 노출된다면 차단 지수 20이면 충분하다. 다만 땀이나 물에 씻겨 나가므로 30~40 정도를 쓰는 것이 권장되며, 덧발라야 한다는 권고가 나온다. A의 경우 숫자 대신 +표시인데, A로 홍반이 생기는 실험을 하기에는 너무 긴 시간이 필요하기에 숫자보다는 +표시가 몇 개냐에 따라 성능을 구분한다. 대체로 한여름에는 +표시가 3개 정도인 것으로 쓰는 것이 권장된다.

맨눈으로 햇빛이나 강한 자외선을 직접 쬐면 일광망막염이나 각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강한 자외선을 쬐는 용접공이나 등산가를 비롯해 일식을 맨눈으로 오래 쳐다봐도 이는 나타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눈이 자외선에 노출돼 생기는 문제는 당장 시력에 영향을 주는 백내장, 황반변성 등이 있다. 이들 질환의 예방을 위해 가장 간단한 방법이 선글라스를 쓰는 것이다. 우선 색이 짙으면 눈의 동공이 커져 오히려 자외선이 눈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므로 색 농도는 75~80%가량이 좋다. 색깔은 회색이 가장 무난하며, 갈색의 경우 해변에서나 운전자들이 쓰기에 좋고, 노란색은 야간 운전이나 야간 스포츠를 즐길 때 이롭다. 일반적으로 빨강·파랑·보라 등 원색은 사물의 색을 왜곡해 눈에 피로감을 더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도움말: 서울대병원 정진호(피부과)ㆍ최혁진(안과 교수)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베이비트리
안녕하세요, 베이비트리 운영자입니다. 꾸벅~ 놀이·교육학자 + 소아과 전문의 + 한방소아과 한의사 + 한겨레 기자 + 유쾌발랄 블로거들이 똘똥 뭉친 베이비트리,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어 찾아왔습니다. 혼자서 꼭꼭 싸놓지 마세요. 괜찮은 육아정보도 좋고, 남편과의 갈등도 좋아요. 베이비트리 가족들에게 풀어놓으세요. ^^
이메일 : hanispecial@hani.co.kr       트위터 : ibabytree       페이스북 : babytree      
홈페이지 : http://babytree.hani.co.kr

최신글




  • 수포자·영포자들 감긴 눈 뜨게 할수 있을까수포자·영포자들 감긴 눈 뜨게 할수 있을까

    양선아 | 2019. 04. 26

    [뉴스AS] 정부 ‘기초학력 보장 강화’ 정책지난해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결과에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늘면서 기초학력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사진은 과거 일제고사 형태로 성취도 평가를 할 때 초등학생들이 시...

  • 키는 안 크고 몸무게는 늘고 식습관은 안 좋고…학생들 건강 ‘적신호’키는 안 크고 몸무게는 늘고 식습관은 안 좋고…학생들 건강 ‘적신호’

    양선아 | 2019. 03. 28

    국내 초·중·고등학생들의 키 성장세는 주춤한 반면 몸무게는 늘어 비만율이 높아지는 ‘적신호’가 켜졌다. 중·고등학생 다섯명 중 한명은 아침 식사를 거르는가 하면, 주 1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먹는다고 답한 고등학생이 무려 80.54%에 이르는 등...

  • 1월 출생아 4년 만에 1만명 줄어…범정부 인구정책 TF 구성1월 출생아 4년 만에 1만명 줄어…범정부 인구정책 TF 구성

    베이비트리 | 2019. 03. 27

    ‘1월 인구동향’ 1월 출생아수 3만3백명 기록2015년 4만1900명 뒤 해마다 역대 최저치인구 1천명당 출생아 6.9명으로 7명대 져통계청 장래인구 특별추계 발표 예정에 이어관계부처·연구기관 ‘태스크포스’ 구성하기로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영유아 자기조절력은 부모 양육방식에 좌우영유아 자기조절력은 부모 양육방식에 좌우

    베이비트리 | 2019. 03. 25

    아이 아빠가 2~3살 아이들에게 자꾸 스마트폰을 보여줘요Q. 3살과 2살 연년생 남매를 둔 가정주부입니다. 남편과 양육관이 달라 고민입니다. 특히 스마트폰 문제로 다툴 때가 많습니다. 남편에게 아이들과 놀아주라고 하면 주로 스마트폰을 보여줍니...

  • 한유총 차기 이사장 선거, ‘이덕선의 후예’ 김동렬 단독 출마한유총 차기 이사장 선거, ‘이덕선의 후예’ 김동렬 단독 출마

    양선아 | 2019. 03. 20

    동반사퇴 제안했다가 철회하고 단독출마 ‘유아교육법 시행령 반대’ 등 강성 기조 개학연기 투쟁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한유총의 차기 이사장 선거에 ‘이덕선 현 이사장의 후예’로 꼽히는 김동렬 수석부이사장이 단독 출마하기로 했...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