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죽음에 대해 한 번도 진지하게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적어도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는.

내 나이 29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으니 일찍 돌아가신 것은 아니지만

막 입대한 시기인지라 충격이 상대적으로 심하였다.

     

아버지가 사라지게 되었을 때의 그 느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가장 와닿는 표현이라면 “그 다음이 내가 되겠구나”라는 것이었다.

그 순간 죽음이라는 것이 두려웠다.

죽음을 앞둔 아버지를 어떻게 안정시켜드릴 수 있을까 하고

죽음에 관한 책을 3권 사서 읽으며

아버지를 핑계로 나 자신의 마음을 진정시켜야 했다.

 

하지만 머릿속으로 이해되는 것과 달리 죽음에 대한 살떨림은

쉬이 사라지지 않았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큰아버지, 먼 친척, 친구 아버지, 친구 할 것 없이

5년 사이에 장례식장만 수도 없이 다녔다.

친구의 자살이 있었고 또 다른 여자친구가 결혼한지 얼마 되지 않아

꽃다운 생애를 마감하였다.

 

그 당시 나는 은평구의 뉴타운이 들어설 택지에 있었던 공동묘지의 인골들을

하나 둘 정리하는 작업을 하였다.

수십 구의 뼈에 묻어 있는 먼지와 흙을 털어내며 친구의 안타까운 소식을 들었을 때

나에게 삶과 죽음의 의미는 어떠하였을까?

 

그리고 나는 몇 년이 지나지 않아 제주로 내려왔다.

일련의 사건들이 어떤 영향을 미친 지는 알수 없으나 나

에게 죽음이라는 것은 가까이 있으며, 죽음이 두려운 만큼 삶이 절실해진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요 며칠 봄 햇살이 화창한 날, 며칠 뒤에 있을 아버지 제사를 떠올리게 되었고

자연스레 죽음이라는 것을 곱씹어볼 수 있었다.

이제 그 아버지가 돌아가셨듯 나또한 죽음을 맞이할 터인데

나는 어떻게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마음의 평정을 맞이할 수 있을까?

그런 생각에 이러다 보니 내가 너무나 사랑하는 내 딸 또한 자연스럽게 생겨났듯이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라 생각하니 너무나 마음이 아팠다.

 

왠 쓸데 없는 잡생각인가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부모가 자식보다 먼저 가는 것이 그래도 다행이라는 생각도 해보고

간디도, 예수도, 김구선생도 모두 죽었으니 나또한 사라짐이 합당한 것이라 마음을 다스려 본다.

 

오늘 저녁은 사람들을 만나 회 한 접시를 먹었다.

방금 전까지 펄떡 펄떡 뛰었을 생명체를 앞에도 두고

농담을 하며 마치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살점을 집어 삼키듯이

죽음은 우리에게 너무나 흔한 일상이고

그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또 삶이다라는 것으로 며칠간의 잡생각을 마무리 짓는다.

 

봄꽃1.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00621/be0/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4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른들은 왜 어린 아이들에게 돈을 줄까? imagefile [2] 홍창욱 2013-03-28 17929
74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결혼전 딸기여행, 결혼후 딸기체험 imagefile [7] 양선아 2013-03-27 33911
743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회사, 나의 힐링 캠프! imagefile [18] 김미영 2013-03-27 37686
74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드디어 끝난 7년 4개월의 모유수유 대장정! imagefile [17] 신순화 2013-03-26 27097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봄꽃이 떨어진다 imagefile [4] 홍창욱 2013-03-19 17514
7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반짝 반짝 빛나는 네 살! imagefile [14] 신순화 2013-03-19 21119
739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어린이집 입학을 신고합니다! imagefile [11] 김은형 2013-03-18 24689
73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에서 며느리살이,이보다 더 가벼울 수 없다 imagefile [7] 윤영희 2013-03-18 68470
73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22편] 결국~~~다 가버렸네~ㅠ.ㅠ imagefile [3] 지호엄마 2013-03-15 91239
73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과 된장담근 날 imagefile [5] 윤영희 2013-03-13 23149
73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배움에 목마르게 하자! imagefile [4] 신순화 2013-03-12 20005
734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곤란해도 괜찮을 수 있나요? imagefile [3] 임지선 2013-03-11 18800
73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를 울린 엄마, 부엌에서 죄책감을 씻다. imagefile [3] 윤영희 2013-03-06 22324
732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나의 못난 찌질함을 반성합니다 imagefile [5] 김외현 2013-03-06 19234
73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기다리며 imagefile [2] 홍창욱 2013-03-05 17621
73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버려야 산다!! imagefile [5] 신순화 2013-03-05 20707
72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파트에서 주택으로 가는 길 imagefile [4] 윤영희 2013-03-01 26850
728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쥐어뜯어도 귀여운 줄만 알았네 imagefile [1] 임지선 2013-02-27 19992
7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남편보다 아이가 더 편한 불편한 진실! imagefile [7] 신순화 2013-02-26 48059
72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한일 초등학교 입학분투기 imagefile [2] 윤영희 2013-02-21 26484